2월 28일 7시 20분, 홍대 역에 내렸다. 내리자마자 지나가는 연인들을 칼같이 갈라주며 냅다 뛰었다. 7시 30분, 칼같이 도착한 곳은 KT&G 상상마당 앞이었다. <하림의 러브레터>를 알려주는 현판 하나가 덩그러니 놓여있을 뿐, 예상했던 안내 관계자는 없었다. 그렇다. 늦은 것이다. 몇 분의 여유도 없이 시간을 딱 맞춰온 탓에 졸지에 지각생이 되어있었다. 교보문고 당첨자들이 쓸데없이 성실한 거라며 구시렁댔다. ‘내 초콜릿 머핀은 남아있을 까’를 걱정하며 엘리베이터 버튼을 눌렀다. 지하 2층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고서야 방긋거릴 수 있었다. 앙증맞은 초콜릿 상자와 머핀이 가지런히 정렬한 채 웃고 있었기 때문이다. 안내데스크에 쌓인 <밀리언 달러>책을 보며 ‘공짜로 받을 수는 없을까’를 궁리하던 차, 공연이 시작되었다.


기타치고 있는 하림

하림의 기타선율로 시작하는 오프닝은 좋았다. 그러나 너무 편안한 자리라서 그랬을 까. 진행보다는 노래 진행이 더 자연스럽다고나 할까. 첫 무대에 나온 황경신씨의 인터뷰는 좀 실망스럽다. 아마 내가 <밀리언 달러>를 읽지 않아서인지, 많이 겉돌았다. 그래서 인상에 남는 건 없다. 사진만 남았다.


사진 왼쪽에서부터 황경신, 하림


사진 왼쪽에서부터 권신아, 황경신, 하림

일제시대 때 불렸다는 애달픈 고전가는 하림이 아니면 못 부를 것 같다. ‘사랑은 맹랑한 것’로 시작하는 가사인데 아코디언 연주와 잘 어울렸다.


하림

사진 왼쪽에서부터 양진숙, 하림

다음은 내가 읽었던 책, <빵빵빵 파리>의 작가 양진숙씨였다. 조근 조근 여성스럽게 이야기해서 귀에 착착 감기던 인터뷰였다. 책 낭독하는 시간이 있었는데 그녀는 ‘나에게 줄긋기 (p.260)’란 페이지를 낭독했다. 그런데 그 많은 문장 중에 왜 그걸 낭독했는지, 궁금했다. (막상 기회가 있었던 싸인회 때는 한마디로 건네지 못했다. 뭘 말할까 고민하는 통에 어색하게 웃고 있었는데, 덕분에 싸인 내용에 썩소에 관한 이야기가 들어갔다.-.,-) 프랑스 유학을 망설일 때 줄긋기 방법을 썼다고 책에 나와 있었는데, 아마 그 것이 자신을 작가로 바꾼 계기라 소개한 것이 아닌 가 싶다. 유학생활이 힘들어서 퐁 데 자르 다리를 서성였던 게 실화라는 이야기, 받지 못한 크리스마스 러브레터 이야기가 인상 남는다. 즉석에서 케익을 만들고 관객 한 분께 깜짝 선물도 했다. 딸기를 올리는 단순한 데코레이션 작업이었지만 순간, 저자가 참 예뻐 보였다. 빵을 만들고 그 빵을 누구와도 나눌 수 있는 재주도 순간 왜 그렇게 부럽던지.


그녀가 직접 구웠다는 150개의 머핀 중 2개를 챙겼다. 황경신씨가 가지고 온 초콜릿도 2상자 가져왔다. 동행과 헤어져 집에 들어오자마자 한 입씩 맛봤다. 달콤했다. 이럴 때 문학동네 최고를 외쳐준다. 서포터즈의 단 맛은 이런 게 아니겠냐며 썩소를 씨익 지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8-03-05 2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런건 혼자만 다니시구.

모과양 2008-03-05 21:59   좋아요 0 | URL
회사 다니시느라 바쁘시잖아욧! ㅋㅋ
동행이 있었답니다. 빵을 2개 받아 왔잖아요. 내일은 <조경란 작가와 함께 하는 와인 낭독회>가요. 이런 곳에 계속 가다 보면 아프락사스님도 우연히 만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왜냐면 상상마당에서 '정군님'을 봤거든요. 문학동네 스텝으로 참여하신 거겠지만, 반가웠어요. 물론 정군님은 저를 모르시기 때문에 조용히 .... 보기만 했습니다.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