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욕망해도 괜찮아 - 나와 세상을 바꾸는 유쾌한 탈선 프로젝트
김두식 지음 / 창비 / 2012년 5월
평점 :
원하는 대로 욕망하는 대로 살 수 있다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불현듯 발견한 자신의 욕망에 화들짝 놀라는지도 모른다. 아니면 그 욕망으로 인해 또 다른 욕망의 싹을 키우는지도 모른다. 김두식 교수의 『욕망해도 괜찮아』는 숨겨두거나 몰랐던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도 괜찮다고 말하다. 아니, 때로는 욕망하라고 말하기도 하고 욕망하는 삶을 살라고 말한다. 그러니까 이 책에서 그가 말하는 건 나와 당신, 우리 모두의 살아 있는 이야기이며, 살아 가는 이야기인 것이다.
저자가 들려주는 자신의 이야기는 그의 말처럼 누군가에게는 배부른 소리로 들리기도 할 것이다. 나부터도 번듯한 직장, 단란한 가정, 사회에서 인정받는 지식으로 살고 있는 그가 드러내지 못한 욕망이 얼마나 있겠냐며 딴지를 걸고 싶으니까. 먹고 입고 사는 일만도 힘든 세상인데 욕망을 들여다 보고 있을 이가 몇 명이나 될까. 물론 욕망이라는 게 무책임한 일탈이나 악의 실천이나 사회 규범을 벗어나는 게 아니라는 건 안다.
욕망은 참을 수 있으면 참아야 한다고 교육 받아 온 우리가 아니던가. 사춘기 시절 무한하게 확장되는 호기심도 어른이 되면 다 해결된다는 식이었고, 집 장만을 위한 저축이 아니라 폼 나는 외제 자동차나 보석 같은 사치품을 위해 돈을 모은다고 하면 정신 나간 이라 하지 않겠는가. 그리하여 아이들에게도 조그만 참으면 괜찮다고 말하고, 나중에 라는 말로 달래는 것이다. 저자는 그것만이 정답이 아니라고 한다.
욕망이라는 것에 대해 다양한 시선을 제시한다. 대중적인 영화나 책을 통해 설명하기도 한다. 세간의 모든 시선이 주목했던 신정아 사건, 존경받은 목회자의 동성애자 고백을 한 예를 들어 사랑에 대한 욕망을 말하고, 자신이 내면을 인정하는 게 욕망이라 말한다. 가장 쉽고 가깝게 자신의 욕망을 들려줌으로 공감을 얻는다. 자신의 집안 환경과 가족 이야기를 통해 타인의 시선에 비춰진 인정과 욕망이 아니라, 나 스스로 갈망하는 삶에 대해 인정받고 인정할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말이다.
자신의 가족사나 부모의 모습을 공개적으로 밝히는 건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가 말하고자 하는 건 바로 누구의 아들로 교수로, 종교인으로 정해진 길을 걷는 게 나쁘다는 게 아니다. 그는 여전히 과하게 술을 마시거나 언론을 통해 올리는 글에 격한 감정이나 사회에 반하는 글을 올리지도 못한다고 고백한다. 그 고백이 시작인 것이다. 소년 시절의 욕망이 어른이 되어 카메라를 사는 일로 이어지는 일처럼 어느 순간에 오랜 시간 참아온 욕망과 숨겨둔 갈망이 터져 나온다는 것이다. 그건 지극히 당연한 일이며, 그 욕망의 종류와 크기는 사람마다 다르다.
그 욕망이라는 녀석은 아이나 어른 할 것 없이 현재의 모습과는 다른 모습으로 살기를 꿈꾸고 갖지 못한 무언가를 소유하기를 바란다는 사실에 고개를 끄덕인다. 나 역시 무언가를 욕망하고 있으니까. 입고 싶은 옷이나 하고 싶은 머리 모양을 주저하는 건 시선 때문이다. 내 나이를 생각하고, 과연 해도 될까 하며 주저하고 있다. 그러면서 동시에 나와 같은 세대의 누군가가 내가 하지 못하는 행동이나 옷차림을 할 때 부러워하는지, 곱지 않은 시선을 던지는지 생각한다. 저자도 그랬다. 연애 상담을 하는 제자들이 딸의 경우엔 어떻게 할 거냐 물었을 때 고민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욕망에 대해 어떤 용기가 생긴 것이다. 무조건 욕망을 참는 대신 욕망과 함께 살아가는 게 훨씬 행복하고 현명한 삶이라는 걸 확신하게 된 것이다.
‘자기 자신을 인정하고, 내면에 꿈틀거리는 욕망을 잘 다독이며, 자신만의 공간을 지키고, 깊은 내면을 이웃과 나누다 보면, 나도 모르는 새 주변에는 같은 길을 걷는 친구들이 하나씩 늘어납니다. 비슷한 고민을 안고 살아가는 평범한 시민, 혼자서도 행복할 줄 아는 개인, 사냥꾼의 고아기 속에서 남을 지켜주려는 따뜻한 이웃, 말을 많이 하지 않아도 서로의 속마음을 읽을 수 있는 동지 들이죠. 그런 개인들과 아주 작은 연대가 싹트고 나면, 이 험한 정글 속의 삶도 한결 견딜 만합니다.’ p. 301
어쩌면 그가 말하는 욕망해도 괜찮다는 말의 숨은 의미는 용기인지도 모른다. 삶의 변화를 위한 작은 용기, 욕망을 인정할 수 있는 용기 말이다. 나와 다른 사람들을 인정할 수 있는 용기, 누군가 내민 손을 잡을 수 있는 용기, 누군가에게 손을 내밀 수 있는 용기, 그 용기들이 결국엔 나를 살게 하고 당신을 살게 할 거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