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일도 힘겨운 날들이다. 그저 읽기만 하면 되는데, 더위는 그조차 막아버린다. 그러니 쓰는 일도 힘들다. 올해가 제일 더운 것 같다. 더위보다 추위와 잘 지내는 나는 더위가 힘들다.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난다. 얼굴, 목, 등으로 땀이 흐른다. 작년에 이렇게 더웠나 싶은 거다. 아침부터 아이스크림을 먹게 될 줄이야. 이 더위가 끝이 있을까. 에어컨을 잘 켜지 않는 나인데 이번 여름은 자동적으로 리모컨을 찾는다.
며칠 뒤가 입추라는 데 이제 24절기도 맞지 않을 것 같다. 더위에 냉면, 아이스커피, 비빔면, 아이스크림처럼 반가운 건 이런 소설들이다. 정용준의 짧은 소설과 최은영의 단편집이다. 마음산책의 짧은 소설 시리즈, 이번엔 정용준이었다. 짧은 소설이므로 다 읽긴 했는데 리뷰는 언제 쓸지 모르겠다.
문학동네 30주년으로 최은영의 단편집은 예약 구매로 받았다. 출판사에서 신간 책값은 택배비를 생각해서 책정하는 것 같다. 음, 이건 나만의 생각은 아닐 듯. 물론 물가가 다 올랐으니 당연 책값도 올라야 하는데 맞지만 15000원 이상 무료배송에 14600, 14800원은 애매했다. 그래서 아예 15000원이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15120원이다. 반갑고 기다렸던 작가의 소설이지만 그래도 책값은 비싸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803/pimg_7630901653963586.jpg)
정용준의 소설은 꽤 오랜만에 읽는 것 같다. 어쩌다 보니 장편 몇 편은 읽지 못했다. 좋아하는 소설가, 좋아한다고 생각했는데 좋아함이 조금 시들었나. 그랬는지도 모른다. 뭐 그럴 수도 있지. 모 대학에서 강의를 한다는 가시를 봤는데 지금은 서울예술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었다. 정용준은 어떻게 소설에 대해 수업할까. 그 강의, 한 번 듣고 싶네. 이런 생각이 드는 걸 보면 정용준을 좋아하는 마음, 시든 게 아니네.
최은영의 단편집은 그냥 좋다. 좋은 이유를 따로 찾을 필요가 없다. 이번 소설집은 정희진의 추천으로 더 많은 이들이 읽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누군가의 추천, 참 힘이 세구나 싶다. 내 경우도 김연수의 추천이 있는 책은 그냥 넘어가기 어려우니까. 나의 추천도 힘이 세면 좋겠다. 수록된 7개의 단편 가운데 세 편은 읽은 소설이다. 다시 읽어도 또 좋을 것이다. 그러나 당장 읽을지 알 수 없다. 너무 덥고 지금도 등에서 땀이 난다.
어쩌면 8월은 정용준과 최은영으로 채워질지도 모른다. 두 권의 소설로 이미 채워진 느낌. 조금은 가볍고, 꿈 같고 동화 같은 정용준의 소설과 연대와 공감을 다시 한번 확인하며 여성의 삶을 들여다보는 최은영의 소설, 둘로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