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금요일에는 병원에 다녀왔다. 이제 귀는 약한 존재가 되었다. 귀가 가렵기만 해도 덜컥 겁이 난다. 평소와 다른 느낌이 들어 진료를 받았다. 의사가 이번에는 내 귀를 보여주지는 않았고 염증이 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무것도 하지 말고 푹 쉬라고 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 있을까, 피식 웃음이 났다. 스트레스까지는 아니어도 신경이 쓰이는 일이 있다. 내가 어찌할 수 없는 일이라는 걸 알기에 무심히 지내는데 내 몸은 그게 아니었을까. 처방받은 약을 잘 먹으면 된다. 그러면 될 것이다.
그제는 생일이었다. 가족들과 함께 하루 종일 미역국을 먹었다. 고기를 넣고 끓인 미역국은 먹을 때마다 더 진하고 좋은 맛이 났다. 사촌동생과 올케언니와 친구에게 용돈을 받았다. 어른이 된 이후로 용돈을 받는 일은 거의 없는데, 생일이라서 용돈을 받다니. 이상하면서도 신이 났다. 내가 태어난 날을 기억한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좋았다. 나는 음력으로 생일을 챙겨서 내 생일을 기억한다는 건 더 관심을 기울여야 가능한 일이다.
내 생일 다음 날은 친구의 생일이다. 친구도 음력 생일이라 우리는 서로 생일을 축하한다. 나는 친구에게 책을 선물했다. 책을 선물할 수 있는 사이는 좋다. 친구는 내가 고른 책을 기쁘게 받아주었고 받자마다 읽은 부분에 대해 신성하다고 전했다. 내 곁에도 있는 책, 우리는 같은 책의 같은 부분에 멈출 수도 있다.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과 일상을 나눌 수 있는 시간, 참 소중하다. 선배 언니는 꽃을 보냈다. 내가 좋아하는 작약이 보였다. 작약을 보는 시간, 언니를 생각할 것이다. 언니의 생일은 3월이고 양력이다. 언니와 가까이 지내는 이들이 유독 봄에 생일이 많다고 했다. ‘가까이 지내는’, 이 말이 특별한 다정함으로 다가온다. 앞으로 내겐 좋아한다는 그 이상의 말로 남을 것이다.

나를 위한 선물로는 책을 택했다. 이주란, 이장욱의 산문을 읽고 싶어 고른 『술과 농담』, 조해진과 편혜영의 단편집. 앞의 책에서 두 작가의 산문이 있다. 김멜라를 더 읽고 싶다고 느낀 문지와 문학동네의 책. 젊은 작가를 만나는 일은 즐겁고도 어렵다. 김멜라를 발견할 수 있어 좋았다. 이미 단편집을 출간했지만 나는 알지 못했다.책을 읽고 꽃을 보며 가까이 지내는 이들을 생각하는 4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