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대 중반 조선업 구조조정 이후 조선업 인력구조의 문제 상황
- 생산직 숙련에 대한 경시, 무관심, 무지



그러나 조선소의 고용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경기는 좋아졌는데 이번엔 인력을 구하기 힘든 상황인 것이다. 

2015년 기준 조선업 종사자는 20만 명에 육박했지만 2023년 기준으로는 10만 명을 간신히 넘겼다. 낮은 임금과 좋지 않은 처우로 인해 조선 업계를 떠났던 사내 하청 노동자, 즉 물량팀으로 대표되는 최말단의 노동자가 여전히조선 산업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거두지 않고 있어서다.

하지만 업계는 처우 개선과 임금 상승 대신 이주 노동자를 광범위하게 활용하기로 했다. 조선산업의 외국인 비율을 20퍼센트에서 30퍼센트로 늘리며 미래 대신 현재를 선택한 것이다.  - P21


요컨대 지자체와 제조 대기업, 두 렌즈를 통해 도출되는 해법은 제조업 국가 대한민국에서 급한 대로 임시변통의 저임금 일자리는 만들어낼 수 있고 이미 만들고 있다. 또 제조 대기업의 경쟁력을 일정 부분 올릴 수도 있다. 

그러나 지자체와 제조 대기업의 논의에서 빠진 핵심고리가 있다. 바로 노동자의 숙련도다. 지금까지 산업도시가 번성할 수 있었던 것은 숙련 노동자가 좋은 대우를 받았던 상황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자체나 제조 대기업은 이 문제를 회피하거나 오히려 거꾸로 가는 상황이다 - P85

1960년대 경제개발계획 수립 이후 많은 경우 제조업 노동정책과 기업 전략은 저학력 고숙련의 생산직 노동자의 자리를 만드는데 초점을 맞췄다. 노동자를 제대로 훈련시키는 것이 기업의 관심사를 넘어 국가적 의제였다.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주체로서 생산직 노동자의 숙련이 매우 중요했던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가 제조대기업에 ‘직업훈련소‘를 짓게 만들고 노동자들에게 기술 교육을 시켰다. 동시에 적당한 학력의 사무직을 뽑아 생산관리를 하고 경영지원업무를 수행해 기업이 운영될 수 있었다.
그런데 최근 상황은 제조 대기업이 생산직 노동자의 숙련을 우회하거나 배제하는 방향으로 재편하고있다. 생산직 노동자들 대신 고학력의 대졸 엔지니어를 많이 뽑아 그들의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제조대기업의 관심사다. 저학력이지만 고숙련 공정을 담당했던 정규 생산직노동자의 자리가 자동화와 로봇에 의해서나 혹은 비정규직 노동자나저임금 저숙련 하청 노동자로 대체됐다. 중숙련 업무인 사무직 자리는 신규 채용 대신 ‘경력직 같은 신입‘이나 경력직을 통해 충원되거나,
전직을 바라는 엔지니어에게 돌아간다. 특히 산업도시에서는 사무직을 정규직으로 뽑지 않으려는 경향마저 있다.
결국 숙련을 우회하는 지자체와 제조 대기업의 논의는 좋은 일자리를 만들지 못하는 방향으로 겉도는중이다. - P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태균의 이슈 한국사 - 둘만 모여도 의견이 갈리는 현대사 쟁점
박태균 지음 / 창비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읽은 좋은 책, 이슈 한국사에 대해 알릴레오에서 저자인 박태균 선생을 모시고 대담을 했다.
소갯글에서 언급된 다른 식민지 경험 국가와 우리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은 탁견이다.

https://youtu.be/TJ4-v-s0vks?si=swLPlfsWk0HhORqX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랫폼 노동은 상품이 아니다
제레미아스 아담스 프라슬 지음, 이영주 옮김 / 숨쉬는책공장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버에도 어플을 이용한 대응책 사례가 있다
- 우버 회사가 수익성 낮은 콜을 배정할 때 운전자에게 해당 콜의 수익성을 계산해서 이런 ‘똥콜‘을 걸러내주는 앱이다.
- 이 앱의 출현으로 우버 드라이버의 수입이 20% 높아졌다고 한다.

아마존 터크는 고객이 행사하는 권한이 많으므로 터크옵티콘은 고객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반면 우버는 우버가 행사하는 권한이 많으므로 위의 어플은 우버의 콜을 분석해준다.

두 앱 모두 정보 비대칭 문제를 완화해준다.

다른 노력들은 특정 플랫폼에서 노동자들이 직면하는 문제들에대한 기발한 해결책으로 이어졌다. 정직하지 않게 악용하는 고객들에 대해 아마존 M터크 노동자들이 쉽게 피드백을 제공할 방법이 없다는것을 알게 되자, 릴리 이라니와 식스 실버맨은 노동자들의 브라우저에 설치할 피드백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터크옵티콘TurkOpticon은 작업 설명의 정확성에서부터 결제의 신속성에 이르는 요소들에 관해 터커들이 요청자들을 평가할 수 있도록해 줌으로써 미래의 이용자들에게 신뢰할 수 없는 고객들을 차단하라고 경고한다. - P225

69) Lily Irani and M. Six Silberman, Turkopticon: interruptingworker invisibility in Amazon Mechanical Turk.
 (CHI2013, Changing Perspectives, Paris, France), 
https://hci.Csuwaterloo.ca/faculty/elaw/cs889/reading/turkopticon.pdf 
https://perma.cc/Q32W-6MB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랫폼 노동은 상품이 아니다
제레미아스 아담스 프라슬 지음, 이영주 옮김 / 숨쉬는책공장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장에 기반한 메커니즘은 사용자의 (회피 인센티브를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유인을 형성하는 데 더 유망할 수 있다. 노동법상 기준은 노동자의 자유를 유지해야 하는 동시에 유연성이 정말로 선택 사항이 될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최저임금의 체계를 계층화함으로써 미래의 일거리를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을 값으로 매겨서임금 책정에 반영해야 한다. 그것을 ‘긱 노동 탄력요금제(Surge price)‘라고 생각해 보자.

 만약 사용자가 자신의 노동자들에게 상당한 사전 통지와 함께 일정한 근무를 보장하지 않는다면, 그는 지배적 임금률의몇 퍼센트를 더 지불해야 할 것이다.

호주는 그러한 형태의 ‘임시직 추가수당(Casual loading)‘ 시스템을오랫동안 시행해 오고 있다.) 호주 정부 공정근로옴부즈맨 [Fair Work - P212

Ombudsman(FWO)]의 설명에 따르면 ‘임시직 근로자들은 동등한 전일제 또는 단시간 근로자들보다 더 높은 시간당 급여를 받을 권리가있다.‘ 소매업에서의 임시직 추가수당과 관련된 예시 조항에는 ‘임시직 근로자는 전일제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시간급과 이에 더해 전일자 근로자의 통상적인 시간급의 25%를 추가적으로 지급 받는다‘고명시되어 있다. - P2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술혁신과 노동의 관계는 다면적이다. 아세모글루의 권력과 진보를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된다.

각주 74
Report from Select Committee on Stopage of Wage(Hosiery) (HC 421-XIV, 1854-5), iv. 던컨 바이텔은 동의한다.
외주 노동력이 풍부하고 그 가격이 점점 더 낮아지는 한, 제조업자들은 대체 생산 수단으로 눈을 돌릴 유인이 거의 없었다 ・・・ 그 당시 사람들은 사람의 노동력이 매우 싸기 때문에 새로 발명된노동력 절약 기계의 채택을 실제로 지연시킨다고 종종 믿었다.(Duncan Bythell, The Sweated Trades: Outwork inNineteenth-Century Britain (St Martin‘s Press 1978), 177)

제시된 사례는 1830년대와 1840년대에 섬유산업에서 역직기가 개발된 것이다. 제조업자들은 낮은 노동비로 인해 투자가 불필요하다고 의회 위원회에 보고하였다. 

1970년대 캘리포니아의 농업 혁신과 같은 최근의 사례도 있다.
Eduardo Porter, "Revisiting a minimum-wage axiom‘, TheNew York Times (4 February 2007), http://www.
nytimes.com/2007/02/04/business/yourmoney/04view.
html, 보존된 주소는 https://perma.cc/5JG4-F22A.

 또Julia Tomassetti, ‘Does Uber redefine the firm? Thepostindustrial corporation and advanced informationtechnology (2016) 34(1) Hofstra Labor and EmploymentLaw Journal 1, 36~7 는 ‘후기산업주의 기업에서는 생산과 마케팅의 수완 좋고 혁신적인 관리를 통해 이윤을 극대화하는 규범이 쇠퇴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James Flannery, The GlassHouse Boys of Pittsburgh: Law, Technology, and ChildLabour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09) 참조.
75) D - P179

역사적으로나 최근에 있어서나 모두 이 주장을 뒷받침할 많은 증거가 있다. 예를 들어, 1855년에 영국 의회의 외주 노동 산업 조사위원회는 주문형 사업 모델의 그 역사적 선구자들이 노동자들에게뿐만 아니라 경제 전반에도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기업가들이 값싼 외주 노동자에 의존하는 것은 ‘불완전하고 열등한 기계를 영구적으로 사용하게 해 좀 더 경제적인 개선된 생산방식의 채택을 막는다‘고 한 것이다.74) - P174

노동자들 역시 혁신을 가로막는 긱 경제의 위협 때문에 고통받있있다. 경제사학자 던컨 바이텔 Duncan Bythell은 혁신 그리고 심지어 자동화도 반드시 노동자의 이익을 해치는 것은 아니라고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노동자들과 기술 혁신 사이의 그러한 직접적인 충돌은 산업의 ‘마지막 죽음의 고통‘에서만 관찰된다고 그는 말한다. 한편 혁신은 노동을 더 쉽고 안전하게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더 생산적으로 만들어 준다. ‘외주 노동자들이 간헐적인 고용과 낮은 임금의 문제에 직면했던 것은 기계가 그들을 대체해서가 아니라 기계가 그들을 대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값싼 노동자들의 대규모 풀에 즉각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중심인 주문형 사업 모델은 그래서 혁신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진정한 혁신에 투자하지 않고 그 대신 값싼 노동 비용으로 경쟁하는 기업, 서비스 그리고 제품을 지속시키는 부작용을 낳을 수도있다. - P1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