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과 영양실조 그리고 인구 증가

인류학자들이 조사를 해 보니, 농경을 시작한 집단의 치아에서 에나멜질 형성부전이 눈에 띄게 늘어났습니다. 심각한 영양 부족 상태는 오히려 농경을 시작하면서부터 나타났습니다.
몸의 크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팔뼈나 다리뼈의 길이를 재 봤더니, 농경을 시작한 집단에서 오히려 더 작았습니다. 몸집이 왜소해진 것입니다. 역시 굶주림과 영양실조 때문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농업이 시작되고 풍요로운 식생활이 시작됐다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농사를 지으면서 오히려 영양은 부족해지고 건강은 형편없게 변했습니다.  - P121

여기까지만 보면, 인류는 농업을 하면서 오히려 인구가 크게 줄어들었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현상이 벌어졌습니다. 오히려 반대로 인구가 급증한 것입니다.
이것은 죽는 사람이 줄어들었기 때문이 아닙니다. 질병이 늘었으니 오히려 사망률이 증가했을지도 모르지요. 이유는 죽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태어났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여기에 농업이 지대한 공을 세웠습니다. - P124

수렵 시대에는 4~5년마다 아기를 낳았습니다. 아기가 자라 걷게 될때 쯤에 다시 아기를 낳아야 엄마가 손을 덜 들이고 아기를 키울 수 있거든요. 두 명의 아기를 동시에 안고 키우는 것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현대 의학이 제공하는 피임 기법을 모르면서도 어떻게 터울 조정을 했을까요? 

자연 상태에서의 터울 조정은 이유 시기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자는 집중적으로 수유를 하는 동안에는 수유를 관장하는 호르몬이 배란을 억제하기 때문입니다(이를 젖 분비 무월경(Lactational amenorrhea)이라고 합니다.). 아기에게 젖을 떼고 더 이상 젖을 만들지 않게 돼 수유 호르몬이 줄어들면, 여자는 자연스럽게 배란과 월경 주기를 다시 시작합니다. 

농경 생활을 하지 않는 민족지 집단의경우 보통 3~4년 동안 수유를 합니다. 그리고 이유를 한 다음 다시 아이를 갖게 됩니다. 그래서 터울이 4~5년이 됩니다. 그런데 곡식을 중심으로 하는 식생활이 자리 잡으면서 이유식이 탄생했고 모든 게 바뀌었습니다. 아기는 엄마 첫 대신에 죽과 미음을 먹을 수 있게 됐습니다. 그 결과 아기는 보다 빨리 엄마 품에서 떨어질 수 있었고 엄마는 곧 동생을 낳을 준비를 했습니다. 이제 엄마는 2년 터울로 아이를 낳아도 충분히 키울 수 있게 됐습니다. - P1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체청소부 인류

그래서 인류는 동물성 지방을 얻는 획기적인 방법을 생각해 내기에이르렀습니다. 사실 방법이랄 것도 없습니다. 사자부터 독수리, 하이에나까지 모든 경쟁자들이 내장과 고기를 다 발라 먹고 버리고 간 찌꺼기를 먹는 거니까요. 바로 뼈입니다. 뼈는 무시할 게 아닙니다.  - P77

팔다리의 뼈 속에는 골수가 있고 머리뼈 속에는 뇌가 있습니다. 골수와 뇌는 모두 순수한 지방 덩어리로 영양이 풍부한데, 이를 노리는 경쟁자는 벌레와 박테리아 정도입니다. 초기 인류가 아무리 약했다 해도 이정도는 물리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래도 뼈 안의 영양분을 취하는 데에는 한 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뼈는 매우 단단하다는 점입니다. 특히 팔다리뼈는 먼 훗날 무기로도 사용할 정도로 굵고 단단합니다. 이빨로는 이런 뼈를 깰 수 없습니다. 그래서 초기 인류는 돌로 뼈를 깨서 골수를 빼 먹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뼈 깨는 돌은 점점 그럴싸한 모양새를 갖춘 ‘석기‘가 되었습니다. 호모 하빌리스가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올도완 석기는 이렇게 뼈깨는 돌로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 P78

플라이스토세(Pleistocene, 약 258만~1만 2000년 전 기간에 아프리카는건조해졌습니다. 숲이 점점 줄어들고 초지가 늘어났습니다. 식물성 먹을거리를 얻기 위해서는 점점 치열한 경쟁을 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인류의 조상에게 무척 불리했습니다.  - P76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enny 2023-07-13 1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면 사골을 우려먹는 한국문화도 다 과거부터 이어졌네요. 근데 시체청소부라니 ㅠㅠ
 

유당분해 효소 결핍증 대 지속증.

아기가 태어나서 모든 영양을 모유로 해결하는 동안에는 락타아제를 만드는유전자가 활발한 활동을 합니다. 그러다 이유기를 거치면서 락타아제를 점점 덜 만들기 시작합니다. 젖을 떼고 어른이 먹는 음식에 의존할수록 락타아제는 더욱 줄어들고, 대신 다른 소화 효소가 많이 만들어집니다. 결국 어른이 되면 락타아제를 만드는 유전자는 활동을 멈추고 우유를 소화시킬 수 없게 됩니다. 어른의 유당분해 효소 결핍증은 어른이 되면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대단히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 P87

세계 여러 곳의 문화를 비교해서 연구하는 인류학자들은 이전부터 유당분해 효소 결핍증은 연구해야 할 병 증상이 아니며, 오히려 어른이 되어도 여전히 우유를 마실 수 있는 ‘유당분해 효소 지속증(lactusepersistence)‘을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세계 곳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조사해 보면 인류학자들의 말이 맞습니다. 전 세계에서 우유를 마실 수 있는 어른은 각 인구 집단별로 약 1~10퍼센트에 불과합니다. 아시아의 대부분, 아프리카의 대부분, 유럽의 상당 지역이 모두 이에 해당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상적인 젖먹이 동물의 절차를 잘 밟고 있습니다. - P87

그런데 유독 어른이 돼서도 우유를 마실 수 있는 특이한 사람들이 대다수인 지역이 일부 있습니다. 유럽의 스웨덴, 덴마크, 아프리카의 수단, 그리고 중동의 요르단과 아프가니스탄 등입니다. 이들 지역에서는 어른이 되어도 락타아제를 만들어 내는 사람들의 비율이 70~90퍼센트로 높습니다. - P87

2007년, 독일 구텐베르크 대학교와 영국 런던 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낙농업이 정착되기 이전 신석기 시대 인골에서 고(古)DNA(화석에서채취한 DNA. 흔히 조각조각 끊어져 있어 해독이 어렵지만, 최근에는 이를 해독하는 기술이 발달해 게놈까지 해독하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를 채취해 분석했습니다. 그결과 락타아제 돌연변이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유럽에서 이 돌연변이가 본격적으로 증가한 시점은 낙농업이 시작된 이후인 지난 1만년 이내라는 사실이 검증된 것입니다. - P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격 반영

친환경 경영을 하는 호텔도 등장하고 있다. 2022년에 핀란드에서 오픈할 예정인 에코리조트 ‘악틱 블루 리조트(Arctic Blue Resort)’는 색다른 방법으로 친환경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리조트에 투숙하는 고객은 체재 중에 배출한 탄소량에 따라 지불하는 숙박비가 바뀐다. 체재 중에 전기와 물 소비를 억제하고, 외부활동에 참여하거나 보다 지속가능한 식사를 선택할수록 숙박비는 할인된다. 최대 50%까지 할인되기 때문에 고객은 기꺼이 환경에 좋은 체재방법을 선택할 것이다. - <ESG 경영과 자본주의 혁신>, 이형종,송양민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D63XG8W7eWQBZ86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연자본 회계

푸마의 자연자본회계는 납품하는 모든 공급자가 자연자본에 미치는 환경영향을 모두 금액으로 계산한 것이다. 영국의 트루코스트의 도움을 받아 위탁 제조공장(1차공급자)부터 면화를 재배하는 농가(4차공급자)에 이르기까지 온실효과 가스, 물과 토지이용, 대기오염, 폐기물 등의 환경부담를 찾아내고, 금액으로 계산했다. - <ESG 경영과 자본주의 혁신>, 이형종,송양민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WxCVfhNu2RyU4ZVk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