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모럴리스트

프랑스어에서 모럴이란 인간의 정신상태, 성질, 생활 태도와 함께 사회의 관습, 풍속, 도덕까지 포함하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프랑스에서 모럴리스트(noraliste)란 그런 의미의 모럴을 다루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지 우리가 흔히 그 말을 도덕주의자라고 번역하는 것(민주1-39)과는 다르다. 즉 모럴리스트란 개인의 인간 심리, 사회의 풍속 습관을 연구하고, 사회 속의 한 인간으로서 자기의 존재 방식을 통해생활 규범으로서의 윤리 도덕을 탐구하는 자를 말한다. 

그 대표가 몽테뉴, 파스칼, 라 로쉬푸코, 라 브류이엘 등이었는데, 토크빌은 그 전통을 잇고 있다. 토크빌이 가장 좋아한 파스칼, 몽테스키외, 루소도 그런 모럴리스트들이었다.
- P119

아무리 유리한 자연환경과 훌륭한 법이 있다고 해도 그 나라의 모럴이 알맞지 않으면 어떤 제도도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이 나의 확신이다. 반면에 어느 나라의 모럴은 가장 불리한 자연환경과 가장 열악한 법을 어느 정도 유리하게 전환시킬 수도 있다. 모럴의 중요성은 공통적인 진실로서, 우리가 언제나 연구하고 경험을 얻어야 할 관심의 대상이다. 모럴은 이 책의 관찰 분야에서 핵심이 되는 것으로서 내가 가장 궁극적으로 탐구할 종착점이다. 이 부분은 내가 가장 진지하게 주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내가 독자에게 미국인의 실천적인 경험, 습관, 사고법, 간단히 말해서 민주 제도의 유지에 미친 모럴의 중요한 영향력을 느끼지 못하게 했다면, 나는 나의 작업의 주요한 목적에 실패한 것이다(민주 1-404~405).
- P1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화정이란 본래 세습 군주가 없는 정치체제로서 민주정은 물론 군주정도 포함하는 것이었으나 이론적으로는 공공 이익을 추구하는 국가로 이해되었다. 

사실 유럽 역사에 로마 공화정이나 베니스 공화정 같은 예가 있었으나 이들은 어디까지나 소국이고 도시국가였다.
몽테스키외도 법의 정신에서 공화정은 소국에 적합하고 대국에는 군주정이 적합하다고 했다. 공화정은 자기 이익을 희생하여 공공 이익에 헌신하는 시민정신에 의해 가능한데, 이는 시민의 이해관계가 동질적인 소국에서만 가능하다는 이유에서였다. 소국인 스위스 출신의 루소도 이를 인정했다.

그런데 이러한 공화정 개념은 상당히 엘리트주의적인 것이었다.
공공 이익을 이해하는 시민이란 소수 엘리트뿐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화정은 다수자 자신에 의한 민주정과는 구별되어야 했다. 전형적인 모범 공화정으로 유럽에서 논의되어온 고대 로마의 공화정은, 통령 (컨슬), 원로원 (세나투스), 민회(코뮤티아)로 구성되는 혼합정체로, 통령은 군주적 요소, 원로원은 귀족적 요소, 민회는 민주적 요소를 각각 대표하는 것이라고 주장되었다.
- P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1061816540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세상에는 강력한 두 민족이 있다. 아메리카인과 러시아인이다. 다른 나라들은 대체로 자신의 자연적 한계에 도달한듯이 보이나, 이 두 국민은 세상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소리도없이 강력한 지위로 부상했다. 아메리카는 자연의 장애와 투쟁하지만 러시아는 인간과 투쟁한다. 아메리카는 쟁기로 정복하고 러시아는 칼로 정복한다. 아메리카는 개인의 이기심에 의한목적달성과 자유로운 활동과 상식의 바탕에서 번영하지만, 러시아는 모든 권위를 한 사람에게로 집중시킨다. 아메리카는 자유요, 러시아는 예속이다. 이 두 나라는 출발점도 다르고 가는길도 다르지만 세상을 반씩 나누어 갖고 지배할 운명을 계시받은 것처럼 보인다.
- P2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주적 관습 민주적 문화 민주적 시민의식이 가장 중요하다고 역설.
미국의 제도와 법률이 탁월해서 민주주의가 정착된 것은 아니라는 것.
문제는 관습이 시간 속에서 형성된다는 것.
미국은 미국식 민주주의를 만들었고 다른 나라들은 자신의 관습 위에 다른 민주주의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

영국계 아메리카인들 중에 민주정치에 가장 오랜 세월 적응된 곳이 동부의 주들이다. 동부의 주에서는 오랜 기간 점진적으로 민주주의의 원칙들이 주민의 몸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었다. 이렇게 형성된 습관 및 생각과 행동의 성향을 우리는 관습이라고 말한다. 서부지방은 아직 이러한 관습이 부족하다. 서부에는 숲이나 황무지에서 태어난 사람들이 많고 다소 원시적이어서 감정은 더 뜨겁지만 종교적 윤리의 권위가 확립되지 않은 상태다.
지리적 위치나 자연환경, 법률과 관습 중에서 관습이 가장영향력 있는 요소가 분명하다. 좋은 관습을 가진 국민들은 자연환경의 열악함을 극복할 수 있고 법률도 변화시킬 수 있을것이다.  - P179

이 책은 아메리카의 법률과 관습을 추천하려고 쓴 책이 아니다. 이 책을 쓰는 목적은 단지 아메리카 민주주의의 모범을 제공하려는 것뿐이다. 민주주의는 아메리카식 민주주의만 있지않다. 각 나라가 자신의 자연적 환경과 역사적 조건에 맞고 자신들의 좋은 관습을 기초로 하는 민주적 정치제도를 세울 수있다.  - P1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