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웨더와 튜리엘의 대논쟁
모든 사회는 사회질서를 바로잡는 방식에 대해(즉, 개인과 집단의 요구가 상충할 때 가장 막강한 존재가 이를 어떻게 조율할지를 두고) 몇 가지 문제를 풀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문제를 다루는 해법을 크게 나누면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로, 이제까지 대부분의 사회가 택해온 것은 사회중심적 해법이었다. 이는 집단 및 기관의 요구를 우선순위에 놓고 개개인의 요구는 그 아래에 두는 것을 말한다. 이와는 반대로 개인주의적 해법에서는 개인을 중심에 놓고 사회에 개인의 종복 역할을 맡긴다.26 고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d8h1U2KY3hKg5u647
슈웨더는 공동 연구자 둘과 힘을 합쳐 아주 짤막한 이야기 39개를 지어냈다. 이야기 속에서 특정 인물의 행동은 미국이나 오리사에서 규칙 위반으로 비칠 수 있는 것들이었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ZCbqkmTdYCmAgLuG8
슈웨더는 오리사에 자리한 사회중심적인 문화 속에서는 사회 규약적 사고는 거의 흔적도 발견할 수가 없었다.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곳에서는 “사회적 질서가 곧 도덕적 질서”인 것이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P1P9J6qiqvxLzNEv8
슈웨더의 이런 연구 결과가 정말 사실이라면, 튜리얼의 이론은 설득력을 잃는다.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말아야 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아이들이 스스로 도덕성을 깨치는 게 아니라는 이야기였으니 말이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YdZD57bLLQN5ooRN6
시카고에서조차 슈웨더는 사회 규약적 사고에 대해 상대적으로 빈약한 증거밖에 발견하지 못했다. 연구에 사용된 이야기는 대체로 물고기 먹는 과부의 경우처럼 명확히 피해가 가지도 않고 부당하지도 않은 것들이었고, 예상대로 미국인들은 그런 경우에 대해 별문제가 없다고 답했다. 그런데 여기서 더 중요한 점은, 미국인 역시 이런 행동을 대중의 합의를 통해 얼마든 변화하는 사회 규약의 틀에서 보지 않았다는 점이다. 미국인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이 있으면 과부라도 얼마든지 먹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만일 사람들이 과부의 자유를 제한하려 드는 나라가 있다면 그들은 잘못된 행동을 저지르는 것이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qEyKHUeGkBgXQWh7A
도덕과 단순한 규약의 구별은, 도덕적 지식을 스스로 세워가며 아이들이 쓰는 연장이 아니었다. 그보다 도덕과 규약의 구별은 문화가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임이 드러났다. 개인과 집단 간 문제를 개인주의적 틀에서 답하며 나온 필연적 부산물이었던 것이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rqFH5x1kghZ2fwHw7
- 튜리엘의 재해석
슈웨더의 이 연구는 합리주의적 접근 방식 전반에 대한 정면공격이었으니, 튜리얼도 가만히 앉아 당하고 있을 수만은 없었다. 그는 장문의 반박문을 써서 슈웨더의 연구에 이용된 39개 이야기 상당수는 함정 질문과 다를 바 없다고 지적했다••••••미국인들 눈에는 잘 안 보이지만 해를 입는 희생자가 엄연히 존재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면 슈웨더의 연구는 튜리얼의 주장과 모순될 것이 없었다. 정말로 인도인 피험자들이 슈웨더의 이야기들 속에서 피해 요소를 감지했던 것이라면, 슈웨더의 연구는 오히려 튜리얼의 이론에 힘을 실어주는 셈이었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wq1JptTSCHkoir8q7.
- 방법론의 오류를 정정하는 길
슈웨더가 중요한 실험 통제 요소를 한 가지 빠뜨렸다는 생각이 들었다. 피험자에게 직접 피해 요소를 묻지 않은 것이다. 만일 슈웨더가 오리사 사람들이 단순히 피해에만 국한해서 도덕성 문제를 생각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싶었다면, 그는 오리사의 사람들 스스로가 어떤 행동에 피해자가 없다고 진술하고도 그 행동에 도덕적 비난을 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어야 했다 -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C3Us5xF71tm2Cu9D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