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 태조.정종실록 ㅣ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라가 뒤바뀌는 상황에서는 불가피하게 관련자들은 승자와 패자로 구분되어, 한쪽은 출세로, 한족은 유배나 죽음의 결과를 맞는다.
제1장 '개국과 역성의 세월'에서는 고려를 수호하고자 했던 이들, 절개를 지킨 이들과 공을 세운 이들을 열거하고,그들이 받아야 했던 결과를 다룬다. 또한 고려의 왕씨들이 죽어나가고, 살기위해 성을 전씨, 옥씨 등으로 바꾸는 계기가 된 모습을 보여준다.
태조 이성계의 두번째 아내였던 신덕왕후 강씨의 베갯머리 송사로 인하여 그녀가 낳은 두 아들 중 방번이 세자로 책봉이 된다. 이는 왕자의 난을 가져오는 화근이 되었고, 개국공신인 동시에 철저한 정치적 수완과 군사적 능력을 갖춘 정안대군인 이방원이 행동케 한 동기였다.
제2장 '새 술은 새 부대에'에서는 태조가 역성혁명으로 피를 많이 묻힌 개성에서 한양으로 이전하는 과정을 다룬다. 풍수에 전문이었던 하륜이 등장하고, 도읍선정에 있어서 하륜보다는 정도전의 목소리가 받아들여짐에 따라, 하륜은 이방원에 가서 붙어 나중에 그를 보위에 앉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삼봉 정도전은 온갖 책임있는 자리를 꿰차고 자신이 꿈꾸는 나라를 만들고자 애쓴다. 그가 꿈꾸는 조선은 유교사회로서, 백성이 대접받는 세상이었다.
제3장 '제3의 변수, 홍무제'에서는 명나라 홍무제가 이방원과 그의 측근을 두둔하고 나서고, 태조와 정도전은 명이 조선을 좌지우지하려는 것에 대해서 탐탁하게 여기지 않고, 내부적 군사력을 키워서 다시 요동을 치고자 계획한다. 명은 이러한 봉화백(정도전)을 넘겨달라고 계속 독촉하나, 태조와 정도전의 끈끈한 우정은 이러한 난관을 헤쳐나가게 한다.
제4장 '왕자의 난'에서는 정도전에 의해 군사력을 빼앗기고, 제거될 위기에 몰리게 되는 이방원의 이야기를 다룬다. 세자로 있던 방번과 그의 형 방석을 죽이고, 중심세력인 정도전을 살해한다. 이 쿠데타의 주역들인 이숙번, 이거이 부자, 조영무, 민무구, 민무질 형제 등이 있다. 작가는 태조실록을 기록한 하륜과 태종 이방원에 의해 왜곡되었을 만한 정도전에 대한 평가를 새롭게 정립한다. 또한 남은, 조준, 남재 등 정도전의 측근이었던 사람들의 결말도 다룬다.
제5장 '임시군주 정종'에서는 태조가 물러남과 함께 이방원이 둘째 형님인 방과를 정종으로 옹립케 하고, 자신이 후대를 맡을 생각을 하고 있다가, 공신등급에 불만을 품었던 박포가 방간 쪽에 붙어서 군사를 일으키자, 이에 대응하면서 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키는 과정을 다룬다. 길고긴 과정 속에서 이방원이 드디어 왕위(재위기간 1400~1418)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참으로 많은 피를 흘렸다.
저자는 이방원이란 사람에 대해서 평하길, 김대중의 두뇌와 지식, 김영삼의 감각과 결단력, 김종필의 수완을 두루 갖춘 정치 10단의 인물이라고 한다. 태조가 이 아들을 바로 보지 못하여, 도끼에 발을 찍히듯 하였고, 자신의 아끼는 벗이자 신하인 정도전을 비롯한 자식들을 잃고, 용의 눈물을 삼켜야만 했던 것을 보여준다.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이런 갈등을 극적으로 잘 다루었었다.
재미난 것은 태종 이방원 역을 했던 유동근씨가 최근의 정도전 드라마에서는 자신이 대저한 태조 이성계역을 해냈다는 것이다. 입장 바꿔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였을 터이다.
정도전에서 이성계역을 한 유동근씨
http://media.daum.net/entertain/drama/newsview?newsid=20140604180006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