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두번째 인생을 살아라. 그리고 당신이 지금 막하려는 행동이 첫번째 행동에서 그릇되게 했던 그 행동이라고 생각하라."
죽음이란 인간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다. 죽음을 초월한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아우슈비츠, 그곳엔 밖에서 어떤 신분, 무슨 이름, 얼마만한 학식이나 재산을 가졌었나를 묻지 않는 곳.
그저 군대에서처럼, 우리의 학창시절 이름대신 불린 그 넘버로 불리울 뿐이다.
얼마를 가스실로 보내야한다는 지시가 내려오면 서로를 적어내야하는 곳이요,
동족 중에서 가장 악랄한 자 중 뽑힌 자들인 카포에 의해 끌려기 죽임을 당하는 곳이다.
지옥에 비견되는 그런 속에서 살아남아 그 실상을 고스란히 저자는 전해준다. 그 환경에 비해 필체는 너무나 담담한듯 싶다.
3년간 죽음과 삶의 경계를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보낸 빅터 프랭클의 자서전적 논문형식 책을 읽었다. 위의 말처럼 삶을 그저 대충 보내는 것이나, 의미를 모르고 처한 현실에 낙담하면서 살지말고, 성자처럼 살라고 그는 우리에게 독려한다.
비참한 현실 속에서 불투명한 미래를 긍정적으로 기대하면서 내게 있는 자유와 책임감이라는 두가지 무기를 적절히 사용해 볼 것을 그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설득력있게 제시해준다. 이 책을 좋은 보약 먹는 기분으로 읽게 된 이유이다.
모든 것이 발가벗겨지고 온 몸의 털이 밀리고 그저 이름이 아닌 번호로 불리면서 끌려가는 곳이 가스실일지 수용소일지 모르는 생활이었지만, 스스로의 자존감을 포기하지 않고 로고테라피적인 정식으로 이겨낸 소수의 반열에 끼이고 싶다는 열망을 준다.
오늘 우리 사회는 수많은 절벽과 낭떠러지 같은 한계선들, 지뢰들이 있는 속에서 정신병과 극단적 처신이 TV 드라마 뿐 아니라, 현실 속에 이루지는 병든 사회이다. 이 사회와 그 속에 사는 나는 죽음을 어떻게 대처할지 연습하고 배워야 하며 빅터 프랭클의 권면에 귀기울여야 할 것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707/pimg_751396173123583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707/pimg_751396173123583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707/pimg_7513961731235839.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707/pimg_7513961731235835.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707/pimg_7513961731235836.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707/pimg_7513961731235837.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707/pimg_751396173123583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