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8월 9일은 National Book Lovers Day라고 한다. '북 러버' 라면 알라딘 이웃님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지. 그래서 간만에 달려왔다. 와서 생각해 보니 아차차 한국은 이미 8월 10일. 그래도 들어온 김에 이웃집 마실도 가고 내 서재 먼지도 좀 털고 해야지.


얼마 전 N양이 도서관 카드를 만들러 근처 도서관에 갔단다. 스페니쉬 책이 많이 있길래 혹시 해서 찾아보니 한글 책도 꽤 많더란다. "엄마 이것 좀 보세요. 한국 책이에요" 하며 단톡방에 사진을 올렸다. 무슨 책이 있나 사진을 크게 확대했는데 내가 읽고 싶었던 책이 눈에 팍 띈다. '설자은, 금성으로 돌아오다' 우와!! 역시 엘에이 도서관은 다르구나! 그 책에 동그라미를 그려 딸에게 보냈다. "엄마가 너무 읽고 싶은 책이야. 이 책 좀 빌려주고 다른 책도 사진을 좀 찍어봐"


딸이 찍어 보낸 사진 중에는 화질이 썩 좋지 못한 것들도 있어 잘 안 보이는 눈을 작게 떴다 크게 떴다 하면서 책을 골랐다. 마음 같으면 대출 권수를 꽉꽉 채워 (아마도 30권??) 빌려달라고 하고 싶었지만 대출 기간 내에 반납할 수 있을지 알 수 없어 5권만 골랐다.


지난 주말, 엘에이에 가서 N양이 나를 위해 빌려온 책을 받았다. 도서관에서 받은 에코백에 넣어서.

백도 너무 이뻤지만 무엇보다 책이, 책이! 모두 새 책이다!!! 나는 낡은 책도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아무도 안 읽은 책이라니!

사람들이 도서관에 한국 책이 있는 걸 모르는 걸까? 



검색했더니 코리아타운 안에도 도서관이 있고 (당연히 한국 책이 많이 있겠지?) 엘에이 중앙 도서관에도 한국 책이 제법 있는 것 같다. 틈 나는 대로 직접 가 봐야겠다.


몇 년 전부터 시력 저하가 심해져서 종이책은 거의 안 읽고 전자책 위주로 읽었는데 도서관 덕에 다시 종이책을 읽게 되었다. 새 책이라 구겨질까 뭐라도 묻힐까 조심하면서. 이렇게 정자세로 앉아서 책 읽는 거 오랜만이네, 그려.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유부만두 2024-08-10 07: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정세랑 위크가 되겠네요. 멋진 만남 축하합니다. 예쁜 사랑하세요. *^^*

psyche 2024-08-10 09:07   좋아요 0 | URL
아마도 정세랑 작가를 처음 알려준 사람이 바로 유부만두인 듯? 예쁜 사랑 하겠습니다. 땡큐~

유부만두 2024-08-10 07: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동조자 초반 읽다 말았는데 나도 얼렁 읽어야겠어요. 탈출 신이 숨 막히게 고긴장이라 한숨 돌린다는게 두 달 전이에요.;;;

psyche 2024-08-10 09:09   좋아요 0 | URL
동조자 시작했는데 글씨가 너무 작고 여백이 별로 없어서 읽기가 힘들어. 아 슬프다 노안 ㅜㅜ

초록비 2024-08-10 07: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엘에이 주민이시군요! 저도 그런데 혹시 어디 도서관인지 살짝 여쭤봐도 될까요? 미국 도서관에 한국책도 있는 줄 몰랐어요!

psyche 2024-08-10 09:17   좋아요 1 | URL
앗, 초록비님 엘에이 사세요? 저는 엘에이 살 지 않고요 딸들이 엘에이에 있어요. 그래도 같은 남가주니 반갑습니다!

미국 도서관에도 한국 책이 종종 보이더라고요. 하지만 오래된 책이거나 몇권 없는 경우도 많은데 엘에이는 새 책도 많고 책도 많은 거 같더라고요. 제 딸이 간 곳은 윌셔 브랜치인데 거기 말고 pio pico library는 이름이 코리아 타운 브랜치라 아마도 한국 책이 많지 않을까 싶어요. 그리고 다운타운에 있는 central library 에도 한국 책이 많을 거 같아요. 엘에이 갈 때 두군데 가보려고 해요. 혹시 먼저 가시게 되면 어떤지 알려주세요~

독서괭 2024-08-10 08: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한국책 손에 넣으신 걸 축하드립니다!! ㅎㅎ 외국에서 한글책 보면 진짜 반가울 것 같아요

psyche 2024-08-10 09:18   좋아요 1 | URL
네, 읽고 싶었던 책들이 미국 도서관에 있다니 너무 좋았어요. 거기에 새 책이라 더더욱!

초록비 2024-08-10 09: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그렇군요! 알려주신 도서관은 한 번 잘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엘에이 한인타운에 알라딘 서점도 있는데 책값이 정가의 거의 두 배라 쉽게 살 수가 없더군요. 도서관에 한국책이 있으면 너무 좋을 것 같네요!

psyche 2024-08-10 10:37   좋아요 1 | URL
맞아요. 마당몰에 있는 알라딘 서점 너무 비싸죠. 그러면서 중고책을 팔려고 하면 값을 어찌나 후려치는지... ㅜㅜ 초록비님은 엘에이 사시니까 얼마든지 도서관에서 빌려보실 수 있겠네요. 부럽습니다!!

초록비 2024-08-10 1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지금 찾아보니 두 작은 도서관도 좋고 센트럴 라이브러리가 엄청 큰 것 같네요. 이런 곳이 있는 걸 지금까지 몰랐다니 충격이에요 ㅎㅎㅎ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psyche 2024-08-11 07:18   좋아요 1 | URL
도서관 저보다 먼저 다녀오시면 어떤지 알려주세요~ 센트럴 라이브러리랑 코리아 타운 브랜치는 저도 꼭 가보고 싶어요.

라로 2024-08-11 14: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N양이 제 딸이면 좋겠어요. 🤣

psyche 2024-08-12 07:45   좋아요 0 | URL
둘째가라면 서러울 엄친딸 H양의 어머니께서 뭔 말씀을.... N양을 항상 이쁘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니데이 2024-08-12 2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psyche님 잘 지내셨나요. 정세랑 작가의 책 저도 읽었어요. 외국 도서관에서 한국어책을 만나면 반가울 것 같은데요. 도서관 에코백도 예쁘고 새 책을 받으셔서 더 좋으셨겠어요.
페이퍼 반가운 마음으로 잘 읽었습니다.
편안한 하루 보내세요.^^

psyche 2024-08-13 09:47   좋아요 1 | URL
네 더군다나 새책이라 더 좋았어요. 에코백도 너무 이쁘죠? 딸이 자기는 에코백이 많다며 주더라고요. 사양하지 않고 받았어요. 넘 이뻐서 ㅎㅎ
 

폰에서 구글을 열면 내가 관심 있을 것 같은 뉴스가 쫙 뜬다.

내가 검색하거나 클릭한 것을 바탕으로 나의 취향을 추측해서 보여주는 걸 텐데 누군가 내 인터넷 활동을 지켜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오싹하고 무섭다. 그런데 이게 내 입맛에 맞는 걸 보여주니 종종 유용하단 말이지. 사생활 침해와 편리 사이에서 갈등하면서도 자꾸만 그 뉴스를 흁어보고 클릭한다. 


그렇게 해서 알게 된 Banned Book Week.



그렇다면 나도 동참해서 금서를 골라 읽어야지.


학교나 도서관에서 금지된 책이 뭐가 있나 찾아봤다.




단체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모든 리스트에 들어있는 작가가 있었다.

리스트에 따라 한 권이 아니라 몇 권씩 들어가 있기도 한 작가 Ellen Hopkins

그래서 읽어봤다, Crank, Tricks, Traffick

와우! 세상에!



Crank는 crystal meth 또는 methamphetamine 의 별명(?)으로 우리나라에서 히로뽕 (필로폰)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책에 마약이 나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직접적이고 노골적인 이야기인 줄 모르고 시작했다가 깜짝 놀랐다. 오래 전 Go Ask Alice를 읽고 충격받았던 것에 비할 만했는데 Go Ask Alice는 마약 중독 틴에이저가 직접 쓴 일기 같지만 (처음에는 그런 줄 알고 충격받았음) 사실은 어른이 쓴 소설이었다면 이 책은 작가의 실제 경험 (더 정확히는 딸)을 기초로 해서인지 더 생생하고 더 속이 탔다. 멀쩡하던(?) 딸이 점점 마약에 중독되어 가는 걸 읽으면서 아이쿠, 에휴, 제발 그러지 마를 계속 중얼거리며 가슴을 쳤다. 크리스탈이 중독에서 벗어났을까 너무 궁금하여 뒷 이야기인 Glass 를 펼쳤다가 아기도 버려두고 다시 마약을 찾으러 가는 걸 보고 책장을 덮었다. 엄마의 마음으로는 더 이상 못 읽겠다. crank 시리즈가 3편까지 나왔던데 제발 해피엔딩이기를. 



각기 다른 환경과 배경을 가진 다섯 명의 청소년.(3명의 소녀와 2명의 소년)

그 아이들이 각각 다른 이유로 매춘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준다. 일단 청소년 성매매라는 주제도 놀라운데 아이들이 매춘으로 몰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기가 막히지만 실제로 있을 법하다 싶어서 더 충격이었다. (이야기 중 하나인 부모가 아이를 문제아를 교화시킨다는 곳으로 보내는 것은 얼마 전 들은 팟캐스트 Sent Away에서도 다루고 있다.) 어떤 아이는 안쓰러워 안아주고 싶었고 어떤 아이는 그러지 마!라고 소리 치고 싶었고 한 대 쥐어박고 싶은 때도 있었다. 어찌 되었든 아이들이 안타까워서 읽으면서 계속 한숨과 탄식이 흘러나왔다.

다섯 명 아이의 시점이 왔다 갔다 하는데다 시 형식으로 쓰였기 때문에 얘가 누구고 쟤가 누구지?히며 앞으로 뒤로 넘겨가면서 읽느라 이름과 상황을 완전히 매치 시킬 때까지 정신이 없다는 것과 엄마의 눈으로는 도저히 차분한 마음으로 읽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Tricks의 아이들이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해서 2번째 이야기인 Traffick도 읽었다. 

출구가 없어 보이는 상황에서도 다행히 제대로 길을 찾은 아이들이 있어 마음이 좀 놓였다. 





Ellen Hopkins의 책 중 끌리는 책이 있지만 세 권을 연달아 읽고 나니 다음 책을 읽을 엄두가 나지 않는다. 감정적 소모가 엄청 큰 독서였음. 금서를 지정하는 걸 반대하지만 왜 이 작가의 책을 읽지 못하게 하려 하는지는 알 것 같다. 하지만 이런 일들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데 책을 못 읽게 한다고 그 일이 없어지는 건 아니잖아. 덮는다고 덮어지고 가린다고 가려지는 게 아닌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