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원래 책에 줄치거나 그런 것을 잘 하지 않는다. 책을 소중하게 생각해서 조심스럽게 읽는 그런 사람 아닌데.. 잘 안펴지면 책을 펼쳐서 무식하게 막 꾹꾹 누르기도 하고 밥먹으면서, 라면 먹으면서 읽어서 막 김치국물 튀기도 하고 그러는데 생각해보니 이상하네. 고등학교때는 막 줄치면서 읽고 그랬었는데 언제부터 안 그랬던거지?

그런데 이 책 읽으면서 오랫만에 밑줄 쫙하고, 막 스티커로 표시하고 그러고 있다. (현재 삼분의 일 정도 읽음) 



내가 읽는 책은 한글판인데 앞의 책커버를 벗기고 읽으면서 사진을 찍었더니 영어로만 되어있네. 사실 읽다보니 미국의 팝송, 드라마, 책 이런 이야기가 많아서 영어로 읽는것도 괜찮지 않았을까 생각이 들긴 하지만 영어와 한글 두개가 다 가능할 경우는 무조건 한글로 ㅎ


'나는 여성의 힘을 믿는다'챕터에 보면 메간 콕스 거든이라는 사람이 월스트리트 저널에 최근 영 어덜트 소설이 너무 무겁고 어둡게 흐르는 경향에 대한 것을 쓴 이야기가 나오고 그 것에 대한 반박으로 셔먼 알렉시가 쓴 것이 나왔다. 셔먼 알렉시는 내가 좋아하는 작가이고(책은 비록 한권밖에 안 읽었지만 너무 좋아하는 작품이다) 내가 관심있는 주제이기 때문에 월 스트리트 저널에서 두개의 칼럼을 다 찾아봤다. 헐 월 스트리트 저널을 읽으려면 돈을 내야 하네...흑 그래서 혹시나 하고 구글신께 여쭤봤더니 역시 방법이 있었다. 이 칼럼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공유를 한다음에 그 링크로 들어가면 전문을 읽을 수 있다. 페북으로 링크걸어 두 칼럼을 다 읽어보았다.


혹시 읽어보고 싶으신 분을 위해 링크 


메간 콕스 거든의 Darkness Too Visible



셔먼 알렉시의 칼럼은 읽으면서 살짝 울컥했다. 지난번 유부만두님의 서재에서 읽었던 아이들 책에 대한 디카밀로의 칼럼과 비슷한 맥락이다. 


칼럼에서 언급된 책이랑, 이 나쁜 페미니스트에서 언급된 책들 

그래서 또 읽어보고 싶은 책들이 길게 늘어섰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부만두 2018-02-12 08: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록산 게이의 강연 영상만 여럿 봤어요. 그래서 이 책은 읽은 기분;;;; 추천하신 칼럼도 찾아볼게요. ^^

psyche 2018-02-12 08:39   좋아요 0 | URL
에세이 모음집이라서 아마도 강연과 겹치지 않을까 싶어. 여기서 살다보니 뭐랄까 잘사는 백인 여성이 하는 말이 좀 꼬여서 들릴때가 많거든. 이 사람은 흑인이라 그런지 같은 유색인종으로 통하는게 좀 있는거 같고. 끝까지 읽어봐야 하겠지만 지금까지는 나랑 코드가 잘 맞는 느낌.

북극곰 2018-02-12 1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셔먼 알렉시 저도 무척 좋아해요! 저도 읽은 건 하나밖에 없지만. 칼럼 잘 읽었습니다. 요런 칼럼들 찾아서 붙여주시니 너무 감사~~ ^^

˝I don’t write to protect them. It’s far too late for that. I write to give them weapons–in the form of words and ideas-that will help them fight their monsters. I write in blood because I remember what it felt like to bleed.˝

psyche 2018-02-12 23:48   좋아요 0 | URL
아마도 ....part-time indian이거 읽으셨겠죠? 맨날 제목 끝만 생각나서...ㅎㅎ 칼럼 좋죠? 저부분은 왠지 울컥하기로 했어요.

라로 2018-02-13 1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링크 다 저는 앞부분만 나와요. Subscribe 하거나 사인인을 해야 하네요~~ㅠㅠ

psyche 2018-02-13 13:17   좋아요 0 | URL
페북이나 트위터 하시면 내 계정에서 셰어하시고 읽으면 되는데 둘다 안하시죠?

라로 2018-02-13 14:50   좋아요 0 | URL
네. 둘 다 안 해요. 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