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아침. 남편은 큰 아이 이사를 도와주러 일찌감치 집을 나섰다. 이번 이사는 지난 일년 반 동안 네번째인데 6개월 내에 또 이사를 하게 될 거 같으니 2년새 5번의 이사 기록을 세울 판이다. 엄마의 역마살이 딸한테도 간 것인지. 아니 같은 동네에서 계속 이사하는 건 역마살에 안 들어가나? 

첫번째 이사때는 아이가 차가 없기 때문에 나와 남편이 가서 도와줬지만 그 다음부터는 차 있는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가며 자기가 알아서 했는데 이번에는 같이 사는 친구들이 모두 각각 다른곳으로 이사를 가기 때문에 차있는 친구들의 도움을 받을 수 없어 남편이 도우러 간 것이다. 나는 오늘 엠군이 빠질 수 없는 행사가 있는 바람에 집에 남았다. 


남편도 없고, 아이들은 주말 늦잠을 즐기고 있는 조용한 토요일 아침 거실에 앉아 도서관에서 빌려온 그림책 세 권을 꺼내들었다. 얼마전 유부만두님 서재에서 칼럼을 두 개 읽었는데 칼럼이 너무 좋아서 거기에 언급된 그림책들을 도서관에서 빌려왔다.












맨 처음 집어든 이 책은 뭐랄까 마음이 따뜻해지면서 입꼬리가 슬그머니 올라가는 책.  지혜로운 할머니의 대답에 나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끄덕













오래전에 집에서 키우던 물고기가 죽자 초등학생이었던 큰 아이가 물고기의 장례식을 치뤄주고 마당에 묘지도 만들어 준적이 있었다. 그 모습과 너무 비슷해서 옛날 생각하면서 읽었다. 예쁘게 꾸민 묘지도 그렇고 그다음 모습도

And every day, until they forgot, they went and sang to their little dead bird and put fresh flowers on his grave.

그때 물고기를 묻어준 다음 날 친구랑 같이 그 앞에서 추도식도 했었지. 매일 마당의 꽃을 따서 묘지위에 뿌려주고. 물론 책에서처럼 잊기 전까지














앞의 두권을 읽으면서 마음이 따따해졌던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마음이 너무 아팠다. 마야의 아픔이 느껴져서 눈물이 날 것 같았다. 페이지를 넘기면서 누군가가 그 아이에게 손을 내밀어 주기를, 친절한 행동을 해주기를 얼마나 바랬던지. 다음번에 그런 아이가 온다면 클로이는 다시 이런 후회할 일을 하지 않겠지만 다른 곳으로 간 마야는 친구를 만날 수 있었을까.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8-01-28 14: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희도 해든이 첫번째 물고기 맥스가 죽었을 때 해든이는 통곡을 하고 온 가족이 모여서 추도식을 했다지요~~~~! 저희도 저렇게 예쁜 무덤을 만들어줬어요. 저희방 창 아래. 저는 머리가 나빠서 지금 물고기는 이름이 대쉬인데 자꾸 맥스라고 불러서 해든이 속을 상하게 한답니다. ㅠㅠ 머리 나쁜 엄마~~~!

psyche 2018-01-29 02:21   좋아요 0 | URL
처음에는 저렇게 했는데 갈수록 간단해지더니 나중에는 물고기가 죽어도 죽었나 하더라구요.
저는 엠군한테 루이라고 루이한테 엠군이라고 한다는....ㅜㅜ

라로 2018-01-29 15:38   좋아요 0 | URL
음~~~ 저희 해든이도 그렇게 되겠죠~~~! 코코에서 그런 얘기가 나와요. 잊혀지는 것이 진짜 죽은 거라고 뭐 그 비슷한. 암튼. 갑자기 코코 생각이 나네요~~.
근데 님은 나보다 더 심하시다!!!! ㅎㅎㅎㅎ

유부만두 2018-02-07 1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Each Kidness 한국어판으로 읽었어요. 맘이 아파요.... 마야가 씩씩하게 줄넘기하는 것도 짠하고... 마야도 순진한 아이라 돌멩이를 못던진게 아닐까 싶고.... 그랬어요.

psyche 2018-02-07 15:38   좋아요 0 | URL
나도 맘이 너무 아팠어. 마야가 다른곳에서는 친구를 만났을까 계속 걱정되고...ㅜ.ㅜ

북극곰 2018-02-07 15: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부만두 님 글에서 봤던 Each Kindness 여기서도 보네요. 마음 아프다지만 보고 싶어지네요.

psyche 2018-02-07 16:02   좋아요 0 | URL
유부만두님이 링크 걸어놓으셨던 칼럼에 나오는 책이라 읽어봤는데 마음 아프지만 좋았어요.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책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