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VCD]
이창동 감독, 송강호 외 출연 / 대경DVD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녹천에는 똥이 많다' 와 갑자기 생각나지 않는 그의 또다른 소설집을 80년대 말에 읽었을때는 그 묘미를 잘 몰랐는데... (분단을 이야기 하고 있구나. 혹은 그의 글에는 힘들게 살아가는 밑바닥 삶이 있구나등등)

이분이 감독이 되고나서, 2002년 대선 앞둔 '백토'에서 노대통령 지지토론자로 나와

'나는 왜 노무현을 지지하느냐? '그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하는데 ,
글 잘쓰는 사람 말 잘 못한다는 선입견을 유시민 다음으로 깨는구나 하는 생각을 했더랬습니다.

'아니, 글 쓰는 사람이 어찌 저리 말을 잘하지?'

그러고 보니 스크린 쿼터 축소반대 집회할때 구호외치고 토론하는 것은 다른 영화인들 몫이고
시종 조용히 지켜보다가 결론적으로 축소를 반대해야 하는 이유를 아주 적절하고 명확한 문장으로 정리해내는 사람은 이창동 이분이라는 얘기를 읽는 적이 있습니다.
'아하, 그런 일이 있었군..'

그가 문화부 장관이 되고나서, 그것이 너무 놀라워 예전에는 도서관에서 빌려보았다면
이번에는 직접 사서 그의 책을 다시 읽었습니다. 아, 이제 생각이 나는군요.<소지>였습니다.
<소지>와 <녹천에는....>를 다시 읽었는데 워매, 워매, 이분이 이런 사람이었는지 새삼 알게 되었습니다.

눈이 번쩍 뜨이는 기분. 진짜 괄목하고 보게 되었습니다.
각 소설들의 구성과 문장과 하고자 하는 야그들이 얼마나 탄탄한지 한치의 흠도 발견할수 없는 주옥같은 소설집이었습니다.

논리적 사고가 간절하고
글 잘쓰고픈 욕구가 있는 사람이라면 이분의 소설집을 배껴써보라고 권해보고 싶습니다.^^

<초록물고기>는 보지 못했고, <박하사탕> 보고는 어째 뭔가 시원하지 않았고( 생각없이 건성으로 보면 가해자에게 면죄부를 주는 듯해서, 가해자도 괴로웠다는..)<오아시스> 보고는 그의 따사로운 시선과 문소리에게 그런 열연을,
도저히 불가능할것 같은 그런 열연을 해내게 만든 감독의 힘에 압도되었습니다.

때문에 장관 그만두고 감독으로 돌아왔다고 했을때 무척 기뻤습니다.
그리고 차기작은 어떤 작품일까 무척 궁금했습니다.
<밀양>이라... 저에게 밀양은 마라톤이 생각나는 동네입니다.^^ (10킬로 마라톤을 거기서 했거든요.ㅋㅋ...)

보통 조조로 보면  혼자보거나 많아야 20명 정도인데 깐느에서의 낭보때문인지 예매를 하지 않았다면
구석자리에서 봐야 될만큼 자리가 꽉 찼었습니다.
중간자리에 앉아서 뒤를 한번 둘러보니 다들 까만 눈을 두개씩 달고 초롱초롱.... 너무 뿌듯하고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렇게 <밀양>은 일단 관객수로 기선 제압을 했고, 본론으로 들어가서는 더더욱 우리들을 사로잡았습니다.
전도연씨와 유괴범과 송강호씨 빼고는 모두들
영화인지
현실인지
구분이 가지 않았습니다.

약사부부의 진지함, 옷가게 아지매와 시장 아줌마들의 수다, 유괴범에게 줄 돈다발을 하천변 쓰레기통에 넣을때
효과음처럼 들리던 아저씨들의 음담패설, 교회의 예배풍경...등등등  모두가 경상도에서 일상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일의 한단면들을 옮겨 놓은듯 했습니다.

공감을 한 나머지 영화가 끝날때까지 한 열다섯번(?)은  저절로 이구동성으로 웃음을 터트리곤
했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나 송강호씨의 말들 속에서.

송강호씨의 경상도 사투리가 주는 묘미는 정말 백미였습니다. 전도연씨의 '강호선배가 아니었다면, 이창동 감독이 아니었다면..'.이라고 했던말이 정말 빈말이 아님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남들에게는 그냥 지나가는 한 부분이었을지 모르나 저에게는 더할수 없이 강렬했던 부분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종찬씨가 자기네 '행님 '집인지 어딘지에서
형수님네 식구들과 함께 왕년에 피아니스트가 될뻔했다던 현직 피아노원장 신애의
연주를 듣는 대목이었습니다.

왼손 오른손 곱하기로 엇가르며 종횡무진 전 건반을 휩쓰는데...아, 그것은 오래된 기억저편의 한때 너무도 전율했던 곡이었습니다.
그것은 리스트의 연습곡중 하나인 '탄식'이었습니다.

음악을 좋아하기 시작하던 옛날, '리스트'는 또 어떤 사람일까 하며 두장 합본인 음반을 하나 샀고 무심코 듣다가 다른 것들도 괜찮았지만 이 '탄식'에서 가장 머리를 조아렸었었는데...
얼마전에는 듣고 싶어서 오늘내일 들어야지 하는 사이, 큰애가 고만 바늘을 부르트려 버리는 바람에 못 듣게 되었지요.

그런데 세상에 그곡을 '밀양'에서 들을 줄이야! 잠시 였지만 아주 '혈관'을 파고 들었고
당장 컴퓨터에서 찾았습니다.
그런데 이곡이 '이대근 이댁은'이라는 영화에 삽입되었나 보더군요. 그러자 이곡을 선곡한 전상윤이라는 음악가는 물론 '이대근 이댁은'이라는 영화도 필히 한번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연주스타일은 밀양과 좀 다른듯 합니다만 그래도 좋습니다.
(어째 옆길로..)

아무튼, 밀양은 대단한 영화였습니다. 이창동 감독의 저력이 가장 유감없이 발휘된 작품이 아닌가 싶습니다.
^^ 그는 가장 나중 작품에서 가장 실력을 발휘하는 감독이 아닐런지....그의 가장 나중 작품은 물론 앞으로 계속 이어지겠지요.

어쩌면 10년후의 그는, 파리에서건, 런던에서건 홍콩에서건 이름만 대면 딱 떠오르는 그런 세계적 감독으로 자리매김 하지 않을까요?

(저만 김칫국 마십니까?  김칫국이 아니라는 것에 10만원 겁니다.ㅋㅋ....)

마틴 스콜세지의 영화를 보면 왠지 '인간적인'무엇이 느껴지는데 이창동 감독의 '밀양'에서도 그랬습니다. 뭔가 한없이 따사로운 그 무엇인가가 영화전반에 그림자처럼 녹아있는, 스며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잡설이 길었군요.^^ 아직, 밀양을 보시지 않았다면 꼭 보시길 강력 추천합니다.^^
이창동 만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ummit 2007-11-10 15: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송강호 씨는 경남 김해 출신으로 알고 있는데요^^

폭설 2007-11-11 09: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summit님.........옛날에 어느분이 지적을 해 주었었는데 제가 수정을 못했군요.^^
지적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