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 이야기
내가 아는 어떤 분은 아직도 동네 서점에서 책을 사죠. 이제 몇 안 남은 서울의 사회과학서점이지만 그래도 늘 필요한 책이 비치되어 있는 경우는 드물어서, 그래서 사고 싶은 책이 생기면 전화로 책을 주문하고 삼사일 뒤에 연락이 오면 가서 구입을 한답니다.
나도 여기 알라딘에서 책 구입을 많이 하는 편은 아니지만, 책만이 아니라 온라인 쇼핑을 거의 하지 않는 편에 속합니다. 그런데 나같은 경우는 실물을 보고, 만져보고, 들어보고, 그래야 직성이 풀리는 스타일이라 앞에서의 사람과는 거리가 멉니다.
반면 내 파트너는 온라인 쇼핑 매니아 수준입니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아이를 키우면서 그렇게 된 것이죠. 육아의 경험이 있는 사람은 다들 알겠지만 아이를 키우면서는 동네슈퍼마켓 가는 일도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에요. 분유, 기저귀를 비롯한 육아용품에서부터 아주 잡다한 것까지 아이를 재워놓고 밤에서야 물건을 고를 수 있기 때문이죠. 어쩌면 많은 쇼핑몰이 30대 아이엄마들을 주 고객을 삼고 있으며 이들의 입김이 큰 이유가 다 있어 보입니다.
아는 또 다른 한 분은 예전에 "대형마트를 아무런 문제의식도 없이 애용하는 사람을 어떻게 좌파라 할 수 있냐"는 말을 했는데, 물론 내가 좌파로 살기로 결심한 적은 한번도 없지만 동네 구멍가게를 먹어치우는 대형마트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진 것은 꽤 오래전부터입니다. 그래서 가급적 아파트 단지 내 가게에서 담배 한 갑, 라면 등을 사는데 이건 사실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죠. 하지만 맥주를 대량을 살 때는 고민스럽죠. 맥주가 아니더라도 빠듯한 살림살이에 저가용품을 무더기로 파는 대형마트의 유혹은 사실 치명적입니다.
<가난뱅이의 역습>의 저자도 대형마트에서 대형마트의 브랜드 물품만을 산다고 했던 거 같은데, 좌파로 살기를 결심하지 않더라도 '부자'로 살지 않기를 결심한 적은 있답니다.(물론 이건 아주 지키기 쉬운 약속^^) 부자로 살지 않기는 가난하게 살기인데 가난하면서 어떻게 중요한, 소중한 가치를 지켜가면서 살 것인가 하는 게 정말 쉽지 않은 문제죠.
또 아는 사람은 자전거를 타며, 집에서 자전거를 들여놓고 거기서 생기는 전력으로 생활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잘 찾아보면 주변에는 '자본에 저항하는, 자본주의에 불복종하는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있죠. 많은 이들이 <녹색평론>의 독자들인데 그저 존경스러울 뿐이지 따라할 엄두도 내지 못합니다. 그저 70%쯤은 타협하고 20%쯤 체념하고 10%정도 쯤이나 따르려 애쓰고 있는 거 같은데. 그것도 쉽지 않죠. 갈수록 말이죠. 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