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우스트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정서웅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36년 인생에 파우스트를 세번째 읽다.
고등학교 때야 책읽을 욕심에 무슨 내용인지도 모르고 두 번을 읽었다. 다시 읽으니 그 어린 날 무슨 재주로 그렇게 읽어댔을까 싶다. 고전은 어린 날 한 번 읽고 나이 들어 또 읽어야 한다는 말을 실감한다. 내가 단 반나절, 하이델베르그 대학의 괴테가 거닐었다는 공원 기슭에서 그럼, 파우스트를 다시 읽어볼까나? 라고 생각하지 않았다면 내게 파우스트는 어린 시절의 치기어린 독서로 끝났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20년 전의 기억에 가물가물 매달려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에게 파우스트 이야기를(대개는 서사시 양식에 대해 공부할 때) 들려주곤 했다. 마치 그 이야기를 잘 아는 양. 나의 말만 듣고 이 책을 과감히 구입했다 울상을 지은 중학생들 기하더뇨. 그러고 보면 어떤 후배가 던진 제발 선생들 자기도 잘 알지 못하는 이야기들 그럴 듯하게 떠들어대는 죄를 범하지 말라던 일갈이 참 의미있는 말인 듯하다.
다시 읽으면서도 여전히 넘나드는 줄거리의 전개가 생소하긴 했지만 적어도 첫째, 번역의 아름다움, 말하자면 말 뜻을 모르고도 줄줄 읽으며 즐거워하는 '말의 아름다움'을 즐겼다. 마치 말 처음 배우는 아기들이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어른 말을 따라하며 재미있어 하듯이. 물론 독어 원전으로 그랬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독어는 전혀 모른다. 번역임에도 불구하고 읽는 즐거움이 컸다는 것은 그만큼 번역이 우수하다는 뜻이리라. 이렇게 가끔 아주 번역이 잘된 책을 만나면 좋은 창작품을 만난 것 못지 않은 기쁨을 느낀다.
둘째, 애니메이션, 영화, 만화, 광고 등 깊고 얕은 온갖 서양 문화의 뿌리가 여기 닿아 있음을 확인했다. 물론 파우스트도 그리스 신화와 독일의 전설들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니 괴테의 '파우스트' 자체가 서양문화의 근원은 아니겠으나 원조나 '헹님' 격에 해당하는. 특히 근현대 문학의 멀지 않은 근원, 비론 곁가지는 아이들이 보는 그림책이나 상업적 광고 따위로 가벼이 나타날지라도 그 많은 문화적 현상, 형상, 작업들에 수분을 대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발푸르기스의 축제 장면을 읽으면서 머릿 속의 수 초 간격으로 휙휙 지나가는 많은 비슷한 영화와 소설과 만화의 장면들을 만났다. 단연코 그 뿌리에 괴테의 파우스트가 있더란 말이다.
아직도 이해가 되지 않는 면이 없지야 않다. 그것은 문화적 차이와 사고방식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겠지만, 파우스트의 행적을 오로지 새로운 세계와 앎을 추구하는 지고한 갈망으로, 악마에게 피를 팔고도 용서받을 수 있는 순수한 욕망으로 여길 수 있는지, 나에게는 그의 욕심은 불손하기도 하고 오만하게도 여겨졌다. 너무 많은 것을 - 심지어는 신의 자리까지, 온갖 지식의 결정체를, 게다가 현실적인 사랑까지 그 모든 것을 - 탐하는 그를 단 한 순간에 지옥에서 천상으로 구원할 수 있는 것인지. 그가 마지막 순간에 많은 사람을 위해 옥토를 구현하려 애썼던 점도 지고지순한 목적의 신념의 실천이라기보다 삶에 의욕이 너무 넘쳤던 정치적인 행동으로도 보인다.
그의 행위 중 가장 (처음엔 욕심에서 시작되었을지라도) 순수했던 그레트헨과의 사랑으로 구원받은 일, 악마의 피보다 더 강력한 것은 누군가를 열렬히 순수히 사랑하는 일. 그래, 거기에 전적으로 공감할 수는 있다. 하지만 어쩐지 구원받는 파우스트의 모습에는 열정 그 자체로 90 평생을 휘몰아치듯이 살아냈던 천재 괴테의 자기 변명 같은 모습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