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이 책을 읽으면서, 어쩌면 내 청춘 시절에 지겹도록 들었던 ‘대한민국 빨갱이 역사’가 이렇게 다시 쓰여지는구나 싶었다. 이 책을 감동으로 집어 드는 이들은 모두 나처럼 반쪽난 이념의 대한민국이 통탄스러운 구세대들일까? 이루지 못한 꿈, 혹은 몰락한 이상주의자들에 대한 연민이 이 책을 돌아보게 만드는 걸까? 젊은이들도 즐겨 읽는다는 말을 들어보고 싶다. 물론 나는, 존경심과 회한의 마음으로, 즉 사감을 가지고 감동적으로 읽었지만 이념이나 경험에서 다른 길에 서 있는 이들도 이렇게 재미있게 읽었다는 말을 들어보고 싶다.
(실패한) 빨치산이었던 아버지의 장례를 치르는 며칠 동안의 이야기만으로도 이토록 소설이 재미있을 수 있는 것은 소소하게 박힌 사건들이 가지고 있는 ‘드라마틱’함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서도 일관된 아버지의 삶의 궤적은 우리에게 ‘삶의 철학’이라는 말을 떠올리게 한다. 어떤 철학을 가지고 평생을 살아갈 것인가. 00주의자라 불리려면 꼬질꼬질한 생활 하나하나와 작은 동물을 대하는 태도까지도 일관성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사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어떤 이는 정치적으로 진보라지만 이성을 대할 때 몹시도 보수적이기도 하고 자유주의자를 자처하지만 자신이 근본주의자인 줄도 모르고 살기도 하니까. 진보를 자처하지만 생활에서 한없이 자본주의적으로 사는 사람도 많고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며 나 자신에게 그런 면모는 없을지 돌아보았다. 그리고 돌아본 지점 하나 더. 소설 속 빨치산 출신 아버지와 어머니는 엄숙근엄진지하기만 하지 않았다는 것. 작가의 필치 덕이기도 하겠지만 사람을 대하는 태도의 여유와 유머와 품 넓음을 보며 나는 나의 세계관 밖의 사람들을 어떻게 대해 왔는가 돌아보게 된다.
누구나 자신의 죽음을 상상해 본다. 나의 장례식에 누구는 오고 누구는 오지 않을 것인가 헤아려 보기도 한다. 나 역시 죽음 이후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과학적 믿음을 갖고 있지만 만에 하나 내가 모르는 질서가 작동하는 세계관이 있다면, 그래서 여러 사람이 말하는 대로 죽은 사람은 자신의 마지막 자리를 혼으로 지킨다면 나는 어쩌면 내 장례식에 온 이들 얼굴을 바라보면서 추억에 잠김으로써 이승의 생을 정리해볼 수도 있겠다. 얼마나 많은 이들이 나의 죽음을 잠시나마 애통해해줄까 하는 상상은 지금의 내 삶을 벼리게 만들기도 한다.
‘아버지’의 오지랖은 넓었다. 장례식장에 다녀간 사람들은 아버지의 그늘에 어떤 식으로든 덕을 보았던 이들이다. 빨치산을 마감한 후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온 아버지가 사회주의를 실천하는 방식은 그런 것이었다. 아프고 힘들고 도움이 필요한 이들 옆에서 같이 담배를 피는, 시신을 수습하는, 술을 같이 기울이는, 그런 방식. 한 사람의 일생에 한 나라의 역사가 담겼을 뿐 아니라 한 마을의 희로애락이 같이 걸어갔던 것이다. 물론 아무나 그렇게 살지는 못한다, 그러니까 이 소설 속 아버지, 실패한 빨치산의 소소한 생이 존경스럽다는 거다.
얼마나 많은 활동가, 운동가들이 소리도 없이 사라졌을까. 그들을 진정으로 애도하고 기억하는 것이 남은 이들의 일일 것이기에 이런 기록은 감사하다. 정지아는 자신의 부모 이야기라서 썼다 하고, 마침 그이는 소설가이기도 했기에 이렇게 기억할 수 있어서 참 다행이고 고맙다. 그렇다면 우리들은 다른, 잊혀져 간, 이미 잊혀진 어떤 이들의 삶을 찾아 되살려보자. 연구도 하고 글로도 쓰고, 자꾸 언급하고 하다못해 그들의 자리에 작은 돌 하나라도 새겨보고, 할 수 있는 것은 다해 보자. 큰 자리에 앉은 이들은 자신의 권한을 다해 그리 하고 우리처럼 작은 삶을 사는 이들은 자신의 역량을 모아 기억하고 추억하고 기리고 흉내내며 모여서 이룬 역사를 잊지 않으려 애써 보자. 돈도 없고 권력도 없더라도 우리는 이런 작은 힘들이 모여 이루어 내는 것들을 믿는 사람들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