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 이음 / 2025년 1월
평점 :
1980년대 중반, 국문학과에 입학하고 나서야 신입생인 나는 서정주가 친일을 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뿐만 아니라 당시 대통령이었던 전두환을 찬양했다는 사실에 더욱 경악했다. 고등학교 시절 열심히 외우고 다녔던 천재 시인에게 그런 피 묻은 얼굴이 있다는 사실을 놓고 대학 1,2학년 생들은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시는 시대로 인정해야 한다, <화사>나 <자화상> 같은 시들을 어떻게 버리냐는 주장과 위선자가 재주를 가졌다고 해서 그걸 예술로 인정할 수 없다는 주장이 팽배했다. 나는 개인적으로 서정주를 엄청 찬양하는 문학소녀는 아니었기에 개인적인 박탈감은 없었지만 다른 내가 좋아하는 시인들에게도 그런 이면의 역사가 있으면 어쩌나 두려워졌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그런 충격과 배신감은 살면서 꽤 여러 번 느낀다. 많은 작가와 예술가, 영화감독들에게서. 고은이 그랬고 조재현이 그랬다. 우디 앨런은 그냥 좀 웃겼지만 폴란스키는 꽤 허탈했던 것 같다. 사랑하는 예술가의 흑역사를 알게 되는 일은 사랑했던 사람을 지우는 일과 다르지 않다. 이 책은 그런 이야기를 특히 문학과 영화의 영역에서, 서구사회에서 유명한 작품을 중심으로 다룬다.
그런 접근은 좋았다. 필요했고. 정치적 입장보다는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주로 서양의 문학과 영화의 ‘사회성/작가주의/참여문학적 영향력’을 다룬다고 이 책을 요약해 본다. 하지만 이 책은 일반인이 교양서로 읽을 책은 아닌 듯 싶다. 중간엔 좀 생뚱맞게 어조가 달라지면서 논문처럼 읽히는 글이 실리기도 한다. 우리가 읽기엔 흔히 접해지지 않는 작품도 많이 인용되고 당연히 알 것처럼 쓰인 (너무나 자세한) 사건들이 우리와는 매우 동떨어져 있기도 하고, 그렇다.
그리고 명백히 밝혔지만 저자의 입장은 사회성을 반영해야 하나 작품이나 작가의 상황에 따라 평가를 달리한다, 는 절충적인 입장이다. 작가의 도덕성과 작품의 도덕성이 가진 관계를 부정하지 않고, 작품이 어떤 사람들이나 집단의 출신, 성별, 또는 성적 기호를 이유로 하는 혐오 선동과 물리적 또는 상징 폭력 선동을 포함하지 않는 한, 문화 생산 장의 고유한 기준에 따라 상대적이고 자율적인 방식으로 작품을 판단할 것을 요구할 것, 이라며.
범죄에 가까운 성차별적인 행태에 대해서는 좀 단호하지만 정치적 행동에 대해서는 다양한 입장을 수용한다고 할까. 세상 모든 일에는 이해와 오해의 영역이 불분명한 부분이 있으니 모든 사건은 세밀하게 들여다보지 않으면 억울할 사람들이 있을 수밖에 없다. 나라나 민족 간의 갈등도 명명백백하게 잘잘못을 나누어 살필 수 없는 어떤 경계도 있는 것이고.
그 유명한 바그너와 하이데거처럼 나치에 부역했다고는 하나 업적이 어마어마하다는 천재들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가 개인적으로 고민이 된 적이 있었다. 용납이나 수용까지는 아니어도 세간의 평에 의존하지 말고 ‘읽어는 봐야 하지 않을까?’ 하는 마음과 ‘아니, 세상에 얼마나 좋은 작가와 글과 예술 작품이 많은데 그런 자들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어?’, 사이에서 고민하던 바로 그 작가들.
이 책에도 마침 그들에 대한 언급도 있다. 바그너의 음악은 그의 열렬할 반유대주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저자는 말한다.
바그너의 행적을 알고도 <니벨룽의 반지>를 듣는다. 하이데거가 그랬다는 이야기를 듣고도 알라딘 장바구니에 고명섭이 쓴 <하이데거 극장>은 넣어둔다. 그래, 예술가를 좋아하는 것과 그 작품을 감상하는 일은 다른 거니까. 비판도 읽어보고 들어보고 해야 하는 거니까. 어떤 이는 그런 자들의 작품을 보아주는 일조차 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경하게 주장할 테지만 나는, 세상사는 좀 더 복잡하고 섬세하게 들여다 봐야 한다는 입장이니까. 저자인 지젤 사피로도 ‘삭제보다는 비판’을 하자고 한다.
물론, 범죄는 아무리 뛰어난 예술로도 덮어지지 않는다는 건 다시 한 번 확인하고 말이다. 그리고 또 물론, 나는 언행 일치, 사상과 행동과 작품이 일치하는 예술가들을 몹시도 사랑한다는 것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바이다.
책 속에서 언급된 저작과 현실 참여 사이의 일관성을 주장한 이들은 다음과 같다. 빅토르 위고, 조르주 상드, 에밀 졸라, 앙드레 말로, 장 폴 사르트르, 시몬 드 보부아르, 베르톨트 브레히트, 엔체스베르거, 에메 세제르, 상고르, 모리슨, 옐리네크, 뒤르켐, 시몬 베유, 로이, 존 듀이, 푸코, 부르디외, 하버마스, 촘스키, 주디스 버틀러 등. 그리고 얼마 전에 읽고 참 좋았던 아니 에르노도.
아니 에르노는 <르 몽드>에 실린 논설에서 이민과 다문화를 비난하면서 ‘프랑스 문학의 순수성을 잃었다’고 주장하는 어떤 에세이를 비난하며 “나는 작가로서의 내 작업을 타자와 나를 대비함으로써 정의한 인종, 민족 정체성과 연결 시키는 일을 절대로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인류의 분열을 강요하려 드는 이들과 맞서 싸울 것이다.”라고 말했단다. 그의 <세월>을 읽고 문학적으로 참 좋다고 생각했지만 그이에게는 이런 단단함이 있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