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월 ㅣ 아니 에르노 컬렉션
아니 에르노 지음, 신유진 옮김 / 1984Books / 2022년 5월
평점 :
세월 – 아니 에르노 지음
1.
수업 내용 요약과 수업 준비를 위한 독서 노트가 어느 날 갑자기 아무 필요 없어졌고, 텍스트를 설명하기 위해 깨우친 박식한 언어는 더는 쓰지 않게 되면서 그녀 안에서 지워졌다.
<세월>의 작가 아니 에르노는 교사였단다. 교사이자 작가라는 정체성에서 동질감을 느껴서 그런 걸까, 아마도 퇴직 즈음에 쓴 듯한 그의 글을 읽으며 많은 생각에 잠긴다. 작년부터 나는 학교에 남아 있는 오랜 세월의 자료들을 하나씩 버리고 있다. 30년도 더 된 5차교육과정의 교과서들, 오래 전 제자들이 찾아와 ‘잃어버렸다’고 말하면 손에 들려보내려고 보관한 여분의 학급문집들, 교무수첩, 교육과정이 바뀌어 쓸모도 없게 되었으나 아이들이 정성껏 만들었기에 차마 버리지 못했던 신문, 시집, 소설, 수필, 시화들. 후배들에게 수업의 예시로 보여주려 고이 간직했던 그것들은 디지털 시대에 활용할 일이 없어진 손으로 쓴 것들이다. 자기 아버지 이야기, 여자 친구 이야기가 눈물처럼 아로새겨져 있는 학생들 글을 버리는 일은 왠지 가슴이 아프다. 내가 개발하고 여러 해 검토해 다져 만든 수업 지도안은, 내게는 보물이었겠지만 이제 곧 쓰레기가 될 터이다. 어차피 버려질 것들, 조금씩 미리 버려야 할 것들이다. 아니 에르노도 그랬을 것이다.
나는 정년퇴직을 5년 남긴 중학교 교사이다. 34년 동안 남자중학생들에게 국어와 문학을 가르쳤다. 남은 5년은 긴 세월일까 짧은 시간일까. 학생들의 반짝이는 눈빛이 온통 나의 말과 수업에 집중될 때, 깊은 생각으로 그 어린 얼굴들이 회한에 잠기는 표정을 지을 때, 친구들과의 수업에 한껏 즐거워할 때, 나는 교사가 된 나 자신을 기특해했고, 행복해었다. 그러면서도 몇몇 어린 남자들의 지저분한 수컷 본능과 잔인한 성정을 만날 때는 난감하고 절망스럽기도 했다. 저 아이들을 어떻게 잘 가르칠 수 있을까, 무엇이든 다 해줘서라도 좋은 삶으로 이끌고 싶은 마음과, 단 1년, 일주일에 두어 시간의 만남으로 저 일그러지기 시작하는 인생에 좋은 영향을 줄 수는 있는 건지 회의를 느끼는 마음 사이에서 고민하곤 했었다.
최근에 학교 현장을 힘들어하는 교사들의 목소리로 세상이 시끄럽다. 사실은 해묵은 문제가 이제 터졌을 뿐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나도 덩달아 학교가 힘들다. 고통을 당한 이들의 아픔에 지나치게 공감을 하는지 몸이 아프고, 이 깊고 복잡한 문제를 풀 해법을 갖고 있지 못해서 차라리 다 놓아버리고 싶기도 하다. 지난 34년을 살얼음 밟듯이 지나왔는데 아직 5년이나 남았나 싶어 남은 시간이 두렵기도 하다. 걷잡을 수 없이 폭주하는 학생과 학부모를 만나는 것은 교사의 능력이나 정성과 무관하게 ‘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나도 앞으로 어떤 거친 학생을 만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도 든다.
2.
그는 이 책을 쓰게 된 계기를 ‘그녀’라는 명칭을 빌려 이렇게 설명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녀는 바로 지금, 글로써 미래의 자신의 부재를 형태로 만들어 놓아야 하며, 20년째 자신의 분신이자 동시에 앞으로 점점 더 긴 시간을 보내게 될, 아직 미완성인 수천 개의 메모 상태에 불과한 이 책을 시작해야만 한다.
곧 사라질 자신의 존재를 글로 남기려는 용기는, 그가 꽤 괜찮은 작가이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하지만 아르노의 <세월>은 단지 자신의 개인적이 추억담에 그치지 않는다. 유럽의 역사와 프랑스의 정치, 가로의 세월 틈틈이 엮인 씨줄의 개인사들이 다 담겨 있다. 동시대를 살았던 그 동네 사람들은 아르노의 글에 깊은 감회를 느낄 것 같다. 읽다가 픽, 웃은 대목이 있다. ‘미테랑의 재선이 우리를 안심시켰다. 우파 정권 아래에서 항상 분노하며 사는 것보다 좌파 정권 아래에서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는 편이 나았다.’ 지금을 사는 이 씁쓸한 공감마저 ‘이것도 지나가리라’가 될 것이겠지만, 멀지 않은 세월 속에서......
삶이 지향해야 하는 것은 발전이었다. 그것은 잘사는 삶과 아이들의 건강, 빛이 잘 들어오는 집 그리고 밝은 거리, 지식, 시골의 어두운 것들과 전쟁에 반대되는 모든 것들을 의미했다.
우리를 휩쓸어가는 것들을 아무것도 바꿀 수 없다는 사실에 우울함을 느꼈다.
우리는 디지털로 현실을 고갈시켰다.
3.
그이의 글에는 노년의 회환과 더불어 삶의 덧없음, 그 때문에 만날 수 있는 인생에 대한 우주적 통찰이 있다.
부모들은 이따금씩 우리에게 대답하는 것을 잊고 초점 없는 눈빛으로 우리가 없었던, 우리는 절대 존재하지 않을 그 시간, 옛날을 응시하는 듯했다.
아이들은 살아본 적 없는 그 시간에 대한 끈덕진 아쉬움을 간직했다. 타인들의 기억은 그들이 간발의 차이로 놓친, 언젠가 살아 보기를 희망했던 시대를 향한 비밀스러운 향수를 안겨주었다.
우리가 할아버지 할머니라는 것을 실감하지 못했다. 마치 이 호칭이 자신의 조부모님에게 귀속된 것처럼, 그들이 돌아가셨어도 아무것도 바뀌는 것은 없는 본질의 어떤 것처럼.
이제는 그녀가 달리는 세상 속에서 부동의 자세로 있는 듯한 느낌이다.
아들의 배우자의 배 속에 아이가 생겼다는 소식을 듣게 됐다 - .. 이 세상에서 자신이 빠르게, 지체 없이 대체된다는 사실이 그녀를 매우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한 개인의 회고사나 푸념으로 그치지 않기 위해 그이는 ‘글 속에서 <그녀>는 거울 속, 사진 속의 ‘끊임없는 타인’에 해당될 것이다.’ 라고 말한다. 늙음을 인정하긴 어렵다고 푸념하면서도 이렇게 자기 객관화에 노력을 다했기 때문에 그의 글은 어른스럽다. 그리고 아름답다.
나는 세상의 아름다움에 기대고
계절의 냄새를 손으로 잡았다.
최근에 아주 예쁜 색감의 잉크를 몇 병 샀다. 색깔별로 만년필을 갖지 못했기에 딥펜이 필요해 펜촉 몇 개를 사달랬더니 남편은 펜촉 수만큼의 펜대도 주문해 주었고 집에 있는 나무를 깎아 잉크병과 펜대를 놓을 수 있는 거치대를 만들어 주었다. 나는 잉크를 찍어 에니 아르노의 다음 문장을 옮겨 적어본다. 아슬아슬한 나의 부모들, 머지 않아 다가올 나와 남편의 미래, 저렇게 허무하지만 너무나 허무하기에 두려울 것도 아쉬울 것도 집착할 것도 없는 삶에 대해, 그의 글이나 나의 마음같은 문장을 한 글자씩, 바다 색의 잉크로, 녹음의 빛깔로, 누런 종이에, 펜촉으로 종이를 살며시 갉아대며, 우리 모두 언젠가 사라질 존재로서, 그렇게 태어나고 사라질 것이라 너무나 감사한 마음으로....
모든 것은 눈 깜짝할 사이에 지워질 것이다. 요람에서 무덤까지 쌓인 사전은 삭제될 것이다. 침묵이 흐를 것이고 어떤 단어로도 말할 수 없게 될 것이며, 입을 열어도 ‘나는’도 ‘나’도 아무 말도 나오지 않을 것이다. 언어는 계속해서 세상에 단어를 내놓을 것이다. 축제의 테이블을 둘러싼 대화 속에서 우리는 그저 단 하나의 이름에 불과하며, 먼 세대의 이름 없는 다수 속으로 사라질 때까지 점점 얼굴을 잃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