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저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사상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여러번 밝혔지만. 나는 무라카미 하루키를 무척 좋아한다. 내가 처음 무라카미 하루키를 만났을때. 나는 개인적으로 여러가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때 아마 무라카미 하루키가 없었더라면 나는 좀 더 소모적인 곳으로 현실도피를 했을지도 모른다. 무라카미 하루키속에서 나는 내 현실을 외면할 수 있었고, 또 거기서 나는 뭔가를 끄적이고 싶다는 내 안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그래서인지 나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에는 무조건 별 다섯을 주었다. 그런 헌사를 바쳐도 될 만큼 그의 작품들이 훌륭하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하루키는 나에게 각별한 작가였으니까. 하지만 이제 그 무조건적인 애정을 거둘때가 오지 않았나 싶다.

하루키의 작품은 늘 반짝였다. 어떻게 인간이 이런 글을 쓸 수 있을까? 혹은 이런 느낌의 글을 써내는 하루키란 인간은 대체 어떤 인간일까 라는 의문을 안겨 주었었다. 그러나 이제 하루키는 더이상 반짝이지 않고 있다. 그는 평범하고 평이해져 버렸으며 하루키의 작품이란 작품은 다 읽은 나 조차도 이 작품이 누구의 것인지 모르고 읽었다면 그리 후한 점수를 줄 수 없을 정도이다.

소설의 구성은 그리 나쁘지 않다. 전개 방식도 그럭저럭 괜찮다. 에리와 마리라는 두 자매의 밤을 다룬 것으로 마치 영화처럼 관객의 시선을 고려한 부분이 참신했다. 하지만 하루키는 괜찮다와 참신하다 정도의 평가로도 만족할 만한 작가는 아니다. 그가 여태 써 온 주옥같은 작품들을 생각할때 이번 작품은 무언가 무게와 깊이를 가지지 못한다는 느낌이 든다.

마리가 언니 에리의 침실로 가서 잠들어있는 그녀를 껴 안고는 돌아오라고 말할때는 코 끝이 조금 찡해지긴 했지만 그건 소설이 훌륭해서라기 보다는 자매 얘기가 나오면 으례 감상적으로 변하는 내 성격 탓이지 절대로 작품만으로 인해 그렇게 되지는 않았다.

어쩌면 나는 앞으로 하루키의 책을 더 이상 사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느니 차라리 그가 이전에 썼던 작품들을 읽으며 이렇게 재밌는 소설을 쓰던 작가가 있었음에 감사하는 것이 더 나은지도 모른다. 하루키를 보는 지금의 내 심정은 한때 열광했던 로큰롤 아티스트가 세월의 흐름 운운해 가면서 가요무대 같은곳에 나와서 트롯트를 해대고 있는 것과 똑같다. 로큰롤이 트롯트보다 우위를 차지하고 하지 않고의 문제가 아니라. 그것은 일종의 배신이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새로운 팬 층은 생길지 몰라도 과거 자신의 로큰롤 음악을 듣고 열광했던 팬들에게는 분명하게 배신이다. 적어도 로큰롤과 트롯트의 아찔한 간극을 생각한다면 말이다.

실은 몇 해 전부터 나는 하루키의 작품에 조금씩 고개를 갸우뚱 거리면서도 무조건 별 다섯을 주곤 했었다. 그건 내가 좋아하는 작가에 대한 내 사랑의 표현이었으니까. 하지만 이 작품을 보면서 더는 그러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만약 하루키의 팬들이 본다면 이 작품은 어떻게건 받아들여지겠지만 한번도 하루키를 읽어보지 않은 사람이 읽는다면 '이 작가가 뭐가 그리 대단하다고 그렇게 난리들이었지?' 하고 실망할 정도이다.

하루키의 25주년 기념작이라고 해서 상당히 기대를 했었지만 결과적으로 이 작품은 그런 기대에도 혹은 하루키라는 작가에 대한 기본적인 믿음에 대한 기대도 충족하지 못한다. 하루키의 팬으로써 그저 가슴이 아플 뿐이다. 세상에는 영원한게 없다는 평범한 진리를 또 한번 깨달게 된다. 나는 하루키는 정말 영원히 처음과 같은 작품들을 써 줄 수 있을줄 알았었다. 하지만 그도 이제 나이가 들어 감각이 무뎌지나 보다. 물론 나이가 들어 더욱 깊이있고 의미있는 작품을 쓰는 작가들도 있겠지만 하루키의 경우 나는 그의 소설을 좋아하긴 하지만 그게 대단한 문학적 깊이와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하루키와 같은 작가들을 나이가 들고 감각의 가장자리가 둥글어지면 큰 타격을 받게되는 모양이다. 예전의 하루키가 그립다. 그렇게나 감각적이고 생동감이 넘치던 글을 쓰던 하루키는 이제 세월 속으로 사라진 모양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리스 2005-07-30 14: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적으로 200% 동감입니다. 나이가 들어서 그렇게 된것이라고 여기는 부분만 빼고요. 어흑, 저는 사실 이 책을 다 읽고 난 뒤 하루키 아저씨를 어서 빨리 만나서 '아니, 도대체 왜 그러셨어요.. 어허헝..' 하면서 울고 싶었더랬습니다. ㅠ.ㅜ

수산나 2005-08-14 14: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 하루키 팬으로써 약간 실망한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이건 하루키 탓이라기 보단 하루키의 이름으로 관심을 200배 끌어보려는 출판사의 의도가 아닐까 생각되요..제목도 영어제목 그대로가 좋지 않나요? 에프터 다크가 너무 의역된 느낌이에요..어둠의 저편을 기대했다간 별거 없죠? 이 소설의 발판으로 한 두권짜리 장편이 또나오지 않을까 싶네요....어째든 하루키 화이팅

끼사스 2005-08-24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루키의 판타지는 좀 어정쩡하죠. 튼튼한 초현실 구조물도 아니고, 현실에 대한 은유로는 안 와닿고. 예의없는 소리겠지만 하루키는 문체가 팔할이었던 작가인 것 같습니다. 요즘 와서 드는 생각이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