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아이리스 장 지음, 윤지환 옮김 / 미다스북스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사드 후작이 쓴《소돔의 120일》에는 보통 사람은 읽기 힘든 표현이 많이 나옵니다. 인간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물어보는 듯한 이 작품은 세계문학 중에서도 기념비적인 작품이지만 그 잔혹성 때문에 국내에서는 오랫동안 금서로 지정되었습니다. 만약 잔혹한 장면이 등장하는 책이 금서로 지정되어야 한다면,《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원제 : The Rape of Nanking)는《소돔의 120일》보다도 먼저 금서로 지정되어야 할 것입니다. 난징대학살을 다룬 이 책은 실제로 있었던 일이면서 아직 관련인들이 살아있을 정도로 최근의 일이기에 더 잔혹합니다. 난징대학살의 기록은 야만스러워 보이지만, 실제론 이성과 합리성이 낳은 현대의 비극이었습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벌인 중국과 일본의 전쟁에서 난징의 함락은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중국 국민당의 수도가 난징이었기 때문입니다. 일본군 사령관 마쓰이는 난징에 입성하기 전에 난징에서 불법적인 행위를 하지 말 것을 명령했습니다. 하지만 마쓰이가 지병으로 인해 잠시 일선에서 물러나고 왕족 출신이었던 아사카가 대리로 들어온 상황에서 난징은 함락되었고, 난징에서 비극이 시작됩니다. 난징을 점령한 일본군이 받은 첫 명령은 항복한 모든 전쟁포로를 죽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조나라 병사 30만명이 생매장됬다고 하는 장평대전을 연상케 하는 이 명령으로 인해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죽었습니다.

첫 번째 줄에 서 있던 포로들의 목이 잘렸다. 두 번째 줄에 서 있던 포로들은 자신들의 목이 잘리기 전에 앞줄에 서 있던 포로들의, 목이 잘린 몸통을 강물에 던져 넣어야 했다. 살육은 아침부터 밤까지 계속되었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2천 명밖에 처리할 수 없었다. 그 다음날 이런 처형 방식에 싫증이 난 일본군은 포로들을 한 줄로 세운 후 기관총을 난사했다. - p.98 

중국군을 처리한 일본군은 그 다음엔 민간인, 특히 여성에게 관심을 가졌습니다. 8만 명의 난징 여성이 강간당한 것으로 추산되는데, 장소도, 나이도, 임신부도 상관없었습니다. 열 살짜리 소녀가 대낮에 길거리에서 강간당한 후 살해당했고, 태아를 꺼내 살해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일본군은 시민들을 산 채로 파묻거나, 가슴까지 파묻고 그 위를 탱크로 지나갔고, 사지를 절단하거나, 태우고, 동사시키고, 염산이나 황산에 담그고, 산채로 개의 먹이로 주는 등 잔혹한 행위를 계속했습니다. 이런 행위들은 사진으로 기록되었는데, 무카이 토시아키와 노다 타케시 중위의 100인 목 베기 시합의 경우 일본의 신문에도 보도되어 그 행동을 자랑스럽다는듯이 과시했습니다.

30에서 40만명의 희생자가 나왔을 것으로 추산되는 난징대학살은 일본인이 잔인한 사람들이라서 생긴 일은 아닙니다. 아이리스 장은 난징대학살을 낳은 근본적 원인에도 관심을 가집니다. 장은 그 원인 중 하나로 일본의 교육제도를 주목하는데, 아이들에게 똑같은 옷을 입고 똑같은 헤어스타일을 하고 똑같은 과목을 배우게 하는 것이 얼마나 치명적인지를 언급합니다. 그것은 교육이 아니라 군대였고, 어떠한 사람도 악마로 만들 수 있게 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폭력에 노출되고, 권위에 복종하게 됨으로써 누구나 아이히만이 될 수 있었고, 군대는 그런 토양 위에 사람을 살인병기로 바꿔놓습니다. 권위에의 복종, 타자의 탈인간화와 같은 방식을 도입해 군대는 평범한 사람을 100명의 목을 벨 수 있는 사람으로 변화시킵니다.

착한 아들, 훌륭한 아버지, 다정한 오빠였던 사람들이 전장에 나와서는 양심의 가책없이 다른 사람들을 죽인다. 살인마로 변해 가는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세 달만에 악마로 변해버렸다. - p.111 

전쟁이 평범한 사람을 악마로 변신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동시에 영웅의 탄생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장은 대학살 와중에도 수많은 사람들을 구원한 사람들 가운데서도 존 라베를 주목합니다. 독일인 사업가이자 난징의 나치당 리더였던 존 라베는 난징에 국제안전지대를 설치해 지도자가 되었고 수십만 명의 중국인을 구합니다. 라베는 중국인을 돕기 위해 히틀러에게 전보를 쳤고, 목숨을 걸고 식량을 구합니다. 라베는 어린 소녀를 강간하려는 일본군과 몸싸움을 벌여서라도 희생자를 구해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독일의 나치가 유대인을 학살하고 있었을 때, 중국의 나치는 중국인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일본군과 싸우고 있었던 것입니다.

지그문트 바우만은 홀로코스트를 분석하면서 폭력, 복종, 합리성으로 구성된 현대 문명의 꽃이라고 지적합니다. 바우만은 홀로코스트는 한때의 광기가 아니라 문명화된 현대는 언제, 어느 곳에서나 또다시 홀로코스트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경고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난징대학살 역시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가공할만한 대량 학살, 효율적 살해, 체계적인 잔혹성은 우리 인간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며, 그것이 교육, 군대문화 등으로 언제든지 발산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존 라베의 이야기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대량학살을 주도하던 나치의 사상에 동의하던 나치당원이 대량학살에 저항하는 웃지못할 이야기는, 우리에게 작은 희망을 전해줍니다. 서구인 기준으로 난징대학살은 홀로코스트에 비하면 너무나 초라할 정도로 알려져 있지 않았던 이야기였습니다. 아이리스 장이 1997년에 쓴 이 책은 난징대학살을 영어로 알린 최초의 보고서로 평가받고 있으며, 언제 또 일어날지 모르는 제2의 난징대학살을 경고한다는 점에서 값진 가치가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