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카스트
스즈키 쇼 지음, 혼다 유키 해설, 김희박 옮김 / 베이직북스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귀족, 양민, 천민. 이 단어들은 중세시대의 계급분류를 말하는 것 같지만, 드라마『정글피쉬2』에서 묘사하는 학생들의 계급입니다. 귀족은 일진 중심의 피라미드 최상위에 있는 계급이고, 천민은 다른 학생들의 심부름을 전담하는 계급입니다. 이런 학생들의 계급도는 드라마적인 표현이 아니라, 현실에 실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교과서는 누구나 평등하게 태어났다고 가르치지만, 그것을 배우는 학생들의 사회는 철저하게 서열과 지위에 의해 움직이는 신분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자는 이런 학교의 구조를 '교실 카스트'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학교를, 학생을 이해하고 싶다면, 교실 카스트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학생들간에 서열이 존재한다는 인식은 오래 전부터 있어왔습니다. 이문열의 소설《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등장하는 학교의 지배자 엄석대만 하더라도 이런 교실 카스트 구조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생각해봐야 할 점은, 어떠한 요소로 인해 서열이 생기느냐는 점입니다. 서열이 생기는 요소는 복합적인데, 외모, 운동신경, 재력, 가정환경 등을 통해 서열이 생깁니다. 여학생의 경우 외모적 요소가 많은 영향을 미치며, 남학생의 경우 운동과 관련된 부분이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머리스타일이나 유행하는 옷 등과 같은 유행을 이해하고 참여하는 학생일수록 상위 계급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최근에 부모 등골브레이커라고 불리며 문제되고 있는 학생들의 패딩 문제도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패딩은 가지고 싶은 물건이나 따뜻해서 입는것보다는 부모의 재력을 과시할 수 있는 물건이며, 교실 카스트 구조에서 상위 계급으로 도약할 수 있는 생존의 문제인 것입니다.

여중생 사이에는 친구들의 폭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해 줄 선배, 일명 '일진 빽' 만들기가 공공연하게 퍼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호의 대가는 그야말로 충격적입니다. 성추행은 물론 성관계까지 감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보호를 빌미로 성매매까지 강요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연합뉴스, 2009 

교실 카스트 구조를 고착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선생님에게 있습니다. 윌리엄 피터스의《푸른 눈, 갈색 눈》에서 지적하듯이 선생님은 교실 내에서 가장 먼저, 가장 확실한 권위를 가진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권위자의 의도는 가장 먼저 구조에 연결됩니다. 문제는 선생님이 교실 카스트 구조를 바라보는 관점이 학생들과 다르다는 점입니다. 학생들은 교실 카스트 구조를 '권력'으로 인식합니다. 그에 반해 선생님은 교실 카스트 구조를 '능력'으로 인식합니다. 교사들은 상위 그룹의 '능력'에 주목하며, 이것이 사회생활에서도 도움이 되리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교실 카스트 제도를 인정하며, 흔히들 말하듯이 공부 잘 하는 학생만 편애하는 선생님 같은 행동을 하게 됩니다. 교사 입장에선 상위 그룹과 친해지는 것이 학급 통솔에 도움이 된다는 것도 교실 카스트 구조를 인정하는 한 요인이 됩니다.

이 윤리질서에 따르면, '옳음'이란 '모두'의 규칙에 부합된다고 느껴지는 것이다. 이지메는 그때그때 '모두'의 기분이 동해서 생겨난 '옳은' 행위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한 그런 행위는 계속해서 더 많이 해야 한다. 설령 누군가를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해도 자신들 나름의 질서에 따랐을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많은 이들이 동조한다는 것은 '옳다'는 뜻이다. 눈치가 빠른 것은 '옳은' 것이다. 분위기를 잘 맞추는 것도 '옳은' 짓이다. 그 중심에 있는 강자는 '옳은' 행동을 한다. 따라서 그 강자에게 복종하는 것은 '옳은' 행동이다. -《이지메의 구조》p.40 

교실 카스트 구조의 문제는 이지메를 낳는다는 점입니다. 이지메가 교실 카스트 구조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교실 카스트 구조가 이지메를 만듭니다. 카스트 구조는 노골적인 학급폭력, 왕따를 만들지는 않더라도, 은연중에 사람을 차별하고 멸시하는 구조를 만들게 됩니다. 계층구조는 주로 그룹단위로 생성되는데, 최하위 계층의 학생이 그룹이 없는 경우 그야말로 사회적 죽음과 비슷한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런 하위 계층의 학생들이 뭔가 모자르다거나 능력이 부족해서 하위 계층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연구 결과는 상위 계층이 부재할 경우 하위 계층은 언제든지 상위 계층과 같은 리더십과 활동력을 보여준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단지 교사가 원하는 것, 학교가 원하는 것 등 권력구조를 만들수 있는 요소와 하위 계층이 추구하는 요소가 맞지 않을 뿐입니다.

학생들은 감정노동자라기보다 감정노예라고 할 수 있다. 늘 미소를 지어야 하는 감정노동자인 승무원보다 억지로 끌려간 성노예에 가깝다. 학교에 강제 연행되어 우연히 같은 반에 배속되었을 뿐인 타인들과 친밀한 친구로서 공동생활을 강요당하는 강제노동은, 병사와 관계를 가져야만 하는 성노예의 강제노동과 동일한 형태다. -《이지메의 구조》p.170  

이런 초, 중, 고등학교에서 보이는 계급적인 갈등관계는 대학교에선 놀라울 정도로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동일 연령에 동일 능력을 균등화시켜 교실이라는 동일한 공간안에 동일한 지식 내용을 동일한 시간에 일제히 동일한 교사에 의해 수업이 이루어지는 닫힌 환경이 교실 카스트를 만든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나이토 아사오는 이러한 관점에 주목해서 이지메를, 학생들의 계급구조를 타파하기 위해선 초, 중, 고등학생에게도 대학생처럼 과목을 선택해서 수강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놀랍게도 연구 결과는 교실 카스트 구조가 하위 그룹의 학생들에게 특히 치명적이지만, 상위 그룹의 학생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말합니다. 상위 그룹에서 밀려나지 않기 위해 자신을 잃어버리고 케릭터를 연기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다원주의 사회는 시민의 개성, 자유를 추구합니다. 그러나 그런 시민들의 학창시절은 중세시절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 교육 개혁은 이러한 구조적 변화로부터 시작되야 한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