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옷장 심리학 - 여자의 마음을 치유하는
제니퍼 바움가르트너 지음, 이현정 옮김 / 명진출판사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친구와 중국음식을 먹으러 가기 위해 지하철에 탔을 때 한 할아버지를 본 적이 있습니다. 지하철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었지만, 그 할아버지는 단연 독보적으로 눈에 띄었습니다. 멋쟁이 노신사풍의 패션이였는데, 구두부터 양말, 바지, 벨트, 상의에 안경, 모자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형광 연두색이였기 때문입니다. 형광색 탱탱볼 같은 할아버지의 인상적인 패션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저런 옷을 걸치고 다닐까?' 와 같은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저자는 바로 이런 질문에서 심리학을 시작합니다. 이상한 옷차림의 주인공들은 단지 옷에 관심이 없거나 패션 센스가 부족한 것보다는, 내면의 심리적인 문제가 표출된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저자는 옷장에 걸린 옷들은 우리의 생각과 감정이 담겨 있기 때문에, 그 사람의 무의식을 반영한다고 말합니다. 옷장에 있는 옷들의 다양한 형태를 통해 저자는 심리적인 문제를 찾고자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옷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입니다. 능력이 된다면 얼마든지 사도 상관은 없지만, 난방비가 밀려있고 굶으면서까지 옷을 산다면 그것은 분명 심리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쇼핑중독증입니다. 또한 항상 동일한 색상의 옷만 입는다면, 그것은 무기력감의 표현입니다. 저자는 이렇게 동일한 색에 집착하는 경우 우울증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요새 뉴스에 여고생들이 너무 치마를 짧게 입는다는 기사가 실린 적이 있습니다. 이처럼 어울리지 않게 노출하는 것은 심리적인 문제인 과다 노출증을 가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사회심리학적으로 남성은 여성을 두 가지 관점으로 해석합니다. 때문에 여성은 이 두가지 관점을 강요받는 불안한 결정을 하는데, 사회심리학 용어로 '마리아-창녀 콤플렉스'라는 것입니다. 순결한 여성인 마리아와 잠자리를 하고 싶은 여성, 창녀라는 두 개의 배타적인 영역에서 과다노출증 여성들은 무의식적으로 창녀의 영역에 서게 됩니다. 저자는 여성의 경우 2차 성징이 빠를수록 과다 노출증에 걸리기 쉽다고 말합니다. 신체적으로 빨리 성숙하는 경우 큰 옷으로 가리거나, 오히려 심하게 노출함으로서 불편함을 상쇄시키려 합니다. 이런 과한 노출 현상은 성적, 심리적 모욕의 결과일 가능성이 크며, 내면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명품만을 과도하게 선호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아의 정체성이 상실된 경우입니다.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브랜드에 집착하며, 브랜드 속으로 숨어드는 것입니다. 브랜드는 광고를 통해 만들어지는 이미지를 사람들에게 브랜드라는 로고에 각인시키는데, 이는 파블로프의 개 실험에서 사용된 고전적 조건화 작업입니다. 이런 이미지는 다른 사람들도 인정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부족한 점을 브랜드로 메우는 선택은 아주 쉬운 선택입니다. 하지만 재정적으로는 심각한 타격을 받으며, 내면의 부족한 부분을 메꾸기 위해 외적인 요소에 너무 집착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브랜드로 문제를 해결하는것은 일시적이며, 문제 해결의 해답이 되지 못합니다.
메건의 프로필은 마치 이력서같았다. 지금까지 무얼 해냈고 어떤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지 등이 나열되어 있었고, 게시된 사진은 마치 성공 카탈로그 같았다. 자신을 자랑스러워하는 것은 전혀 문제될 게 아니다. 그러나 메건의 프로필은 외부의 평가 모음집에 지나지 않았다. 다른 사람들의 평가를 빼고 나면 메건 자신의 가치에 대해 알 수가 없었다. 메건은 '의사, 1등, 아이비리그 출신'이라는 단어 외에는 자신을 나타내는 내면의 특징을 제시하지 못했다. 성취만 남고 자신의 본 모습은 없어진 상황이었다. - p.197
저자는 이 외에도 너무 헐렁한 옷을 입거나, 나이에 맞지 않는 옷을 입거나, 장소에 맞지 않는 옷을 입거나, 여성들이 아줌마가 되었을 때 파마머리와 같은 동일한 패션에 집착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한 심리적인 문제와 그 해결책들을 논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심리적인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는 그 변화를 겉모습에서부터 느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자면, 겉모습에서부터 심리적인 문제를 치유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심장에 병이 났을때 의사가 심장을 열듯이, 이 독특한 심리학자는 사람들의 마음에 난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옷장을 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