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3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3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사회가 어떤 모습으로 만들어질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과거의 지식인들이 그렸던 현대의 모습들을 지금 와서 보면, 실제 현대와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역사적인 거장이였던 마르크스도 미래의 사회를 예상했지만 맞추지 못했습니다. 이런 사례들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먼 미래를 예상해본다는 것은 너무나 힘든 일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주 가까운 미래, 혹은 현재 진행형이면서 당분간 지속될 흐름은 비교적 자신있게 말해볼 수 있습니다. 이 책《트렌드 코리아 2013》은 그러한 관점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2012년에 출간되었고, 2013년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이 이야기들은 이미 시작된 우리의 현실입니다.

책은 두 가지를 이야기합니다.《트렌드 코리아 2012》에서 이야기했던 것을 바탕으로 한 2012년의 흐름과 2013년의 흐름입니다. 2012년의 흐름은 이미 우리가 경험해온 과거 혹은 현재이기 때문에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차량용 녹화장치 블랙박스의 열풍으로 알아볼 수 있는 객관성과 공정성에 대한 바램, 인기 서적들과〈힐링캠프〉와 같은 TV프로그램에서의 힐링 열풍이 말해주는 것들, 미디어 매체에서 점점 더 리얼을 요구하는 소비자들, 케릭터의 시대, 싸이와 김기덕으로 대표되는 마이너의 반란 등이 2012년 우리 사회의 한 흐름이였습니다. 그리고 이 트렌드들은 제야의 종소리와 함께 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 많은 트렌드는 2013년에도 이어져 우리사회를 이해하는 하나의 창이 될 수 있습니다.

2013년의 트렌드들 또한 이제 곧 시작될 사회적 유행이 아닙니다. 이미 유행은 시작되었고, '아마도' 2013년 내에선 그 기세가 꺾이지 않으리라고 생각되는 것들입니다. 그 중에서 인상깊은 현상인 일은 물론이고 놀때마저 지쳐 쓰러질 때까지 놀도록 요구하는 소진사회의 개념과 같은 것은 쉽게 바뀌지 않을 것입니다. 소진사회의 개념은 이미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인 개념은 꽤 오래전부터 시작된 것입니다. 제가 수험생이였을때만 해도 주변에 박카스를 물 대용으로 마시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현재는 박카스보다 훨씬 강력한 고 카페인 에너지드링크를 마시고, 밤샘 공부를 합니다. 그리고 쌓인 피로를 다시 고 카페인 에너지드링크로 풉니다. 온게임넷의 예능 프로그램〈켠김에 왕까지〉는 그야말로 끝까지 달려야 하는 프로그램이며,〈끝장토론〉은 그야말로 마라톤같은 토론을 보여줍니다.

저자는 이런 소진사회에 대해 거론하면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밤낮없이 업무에 매진하고, 스펙을 쌓는 데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며, 뒤쳐지지 않기 위해 건강을 희생하는 현대인들의 이런 모습은 강박증에서 비롯된 일종의 병적 질환이라고 지적합니다. 때문에 정신적 긴장감을 해소하기 위해서 모든 기운이 빠져나갈 때까지 일을 합니다. 이는 일종의 중독이며, 지나치게 강한 중독에 길들여진 사람들은 탈진과 방전상태를 빠져나오지 못합니다. 성과위주의 사회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것과 게으름은 죄악시되며, 때문에 자신을 혹사시키는,《피로사회》에서 언급하듯이 자기착취를 반복합니다. 우리나라 근로자의 근무시간은 OECD 회원국 중 1위이며 여가시간은 최하위이고, 행복지수도 낮으며 자살률 또한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이 통계는 우리가 자기착취를 하는데 있어서 탁월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 통계가 근면성실의 결과로 볼 수는 없는데, 노동생산성은 현저히 낮기 때문입니다.

이런 습관은 우리가 일을 할때 뿐만 아니라 언어습관, 놀이문화 등에서도 영향을 미치며, 이는 자학적일 만큼 소모적입니다. 개발주도의 패러다임 속에서 이러한 모습은 세계적인 강점으로 작용했습니다. 하지만 창의성과 지속가능성 발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사회문화는 점점 우리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긍정 과잉과 생산성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회로 나아가려면, 먼저 그 이전의 문화를 정확히 인식해야 합니다. 그것은 곧 사회 트렌드를 인식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책은 올해와 내년을 주제로 20개의 큰 트렌드 주제를 담고 있습니다. 한 분야의 세밀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얻을 순 없지만, 다양한 분야에 걸친 광범위한 사회문화적 흐름을 인식하는데엔 괜찮은 관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