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의지는 없다 -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지배하는 자유 의지의 허구성
샘 해리스 지음, 배현 옮김 / 시공사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자유의지가 없다고 감히 단언할 수 있을까?

단언할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샘 해리스이다.

자유의지가 없다면......

도대체 이게 무슨말인가?

불과 5년전만해도 나는 자유의지가 없다는 말이 뭥미? 하던 사람이었다.

그런데 자유의지가 없다는 것이 주로 물리학개념에서 나온다는 것을 알고 대경하였다.

자유의지가 있냐 없냐 하는 문제를 의사인 나로써는....

신체의 시스템, 신체의 대사를 공부하면서도 깊이 궁구할 수 있는 문제이다.

어쨋던간...

 

과학쪽에서 말하는 '자유의지는 없다'라는 개념은...

미래가 정해져 있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마치 미래가 셀수 없는 빛의 스펙트럼같은 것이아니라 미래는 어떤 가지치기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짧은 책의 제목부터 단호한 '자유의지는 없다'라는 말은...

즉...

인간의 사고방식이 배경..그러니깐 그날아침 먹은것 때문에 속이 뒤틀렸다든지..

그날 아침 마침 친구랑 싸웠달지..

해서 다음날 가출한다든지..직장에 안 나간다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background가 즉..자유의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자유의지가 없다는 것이다.

(이 background에는 뇌종양, 간질, 정신분열등 유전적 정신질환을 포함한다)

인간의 신경 시스템은 그만큼 한계가 있다.

신경시스템도 두뇌의 크기 한계때문데 대체로 정형화된 방식이 있다고 본다.....

그래서 자유의지는 없다고 하는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렇게 자유의지는 없다고 단호하게 말하는 것도 너무 완고하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든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8-22 20: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어려운 책을 어떻게 읽었는지 기억이 안 납니다. 다시 읽고 싶지도 않고요.. ㅎㅎㅎ

sojung 2016-08-22 21: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많았어요...나름 흥미있는 주제이긴 했어요

샤카천사 2016-11-26 0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의식이 두뇌활동의 결과라고 인정한다면... 두뇌 즉 신경시스템의 작용으로 우리의 의식활동이 벌어진다는 것이고 신경의 메카니즘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의식도 없는 거겠죠

그대로 물리적 입장에서 본다면 신경 메카니즘은 온전히 인과적 작용으로 작동하는 것인데 그러한 인과적 메카니즘에서 벗어나 온전히 자율적인 자유의지라는걸 상정할수 없으니 제목그대로 자유의지를 인정할수없게 되는 것이죠..

sojung 2016-11-27 1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그런것같아요
좀 염세적이기도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