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생각을 하다가
운동량과 헤모글로빈의 관계를 하면 어떨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R-program을 이용해서 결과를 내보았다.
먼저 운동안하시고 침대에 거의 누워계시는 분들과 운동을 하시긴 하시나..poor activity두그릅으로 나눠서 엑셀에 자료를 저장해놓았다.
2 sample t test를 하기 위해서..
그리고 R 프로그램을 창에 띄어서 시동해보았다.
먼저 분산도를 보았다.
분산도는...
등분산성이었다.
정규성은 정규성에 합당하였다.(나는 30이하의 분들을 입력했기 때문데 정규성은 필수이다.)
그래서 t- test를 함..
또끈거리는 맘으로 t-test 를 하니...
결과는
두두두두둥,,....
activity가 poor할수록 헤모글로빈이 낮다는 결과가 나왔다...
덩실덩실..
나중에 activity가 좋으신 외래환자분들과 비교해서 분산분석을 해서 이주제로 논문을 낼까 생각중이다.
여러가지 아이디어가 있긴 한데..
이게 내 실정에 가장 적합할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