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의 종말 - 하버드 의대 수명 혁명 프로젝트
데이비드 A. 싱클레어.매슈 D. 러플랜트 지음, 이한음 옮김 / 부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하버드교수가 쓴 책인데 노화에 관한 최신 지견에 대한 내용이다

저자 데이비드 교수는 노화에 대해서 이런 접근을 한다

노화는 자연스러운 과정이 아닌 질병이고 특정 유전자의 문제라고 하는데

문제의 유전자로 지목되는 부분이 몇개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유전자를 재 프로그래밍하면 인간은 150세까지 살수 있다고 한다

인간이 150세까지 살 필요가 있느냐 의견이 분분하고 있고

인간이란 존재가 사회에 가끔 안좋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볼때 

유전자 재프로그래밍이 과연 연구할 가치가 있는지 이 책을 읽은 나도 잘 모르겠다

저자는 인간의 수명이 늘어남으로써 우려되는 여러가지 부분에 대해서도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있는데

그는 약간의 우려감이 있지만 자신은 전반적으로 낙관론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오히려 노인들의 지혜가 사회에 좋은 영향을 끼칠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을 읽고 나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수명이 길어지면 노인들이 더 오래살텐데 사회가 더 어지러울수도 있겠구나.....

가끔 사회가 '성악설'에 기본을 두고 있다고 여기는 입장인데 말이다

하지만 노화를 없애려는 노력이 과연 저지될까??

그렇지는 않다고 본다

오히려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려는 노력이 활발하겠지

(미국내에서 이 연구에 대한 자금의 흐름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말이다)

이 책은 노화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정말 흥미로운 점이 많은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