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브 (양장) 소설Y
단요 지음 / 창비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다이브>는 2057년의 서울을 배경으로 과학기술이 화려하게 발달되어 죽음이 없는 사회가 아니라 홍수로 모든 것을 잃고 먹을 것마저 풍족하지 않은 사회를 그리고 있다. 부족하기에 이기적이고 폭력적인 것이 아니라 더이상 ‘자신의것‘, ‘축적해야 할 사유재산‘의 무용성으로 얼핏보면 공동육아와 연대가 지금보다 더 절실하고 당연한 사회다. 하지만 이전의 서울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그런 사회가 평온하고 평등하다고 느껴지기보다는 소유할 수 없기에 희망할 수도 꿈꿀수도 없는 절망이기도 하다. 그 절망을 견뎌내지 못한 사람들은 물에 잠긴 서울을 향해 빠져들어가 다시는 나오지않는다. 높은 고지대에 올라온 사람들만이 살아남았기에 ‘남산‘, ‘노고산‘ 등 산으로 구역이 나뉜 그곳에서 수장된 건물과거리에서 생계에 필요한 물품을 마치 물질하는 해녀처럼 건져오는 다이버‘ 선율은 우찬과의 내기에 이기기 위해 물속으로 들어간 어느 날, 큐브에 들어있어 훼손을 피한 기계인간 ‘수호‘를 건져올렸다. 전쟁과 홍수 이전에 죽은 사람의 기억을이식 해 배터리만 충전해주면 마치 영생이 가능하듯 개발되었던 기계인간 수호. 노고산의 유일한 어른이자 기계와 전자제품을 잘 다루던 경 삼촌, 삼촌에게 관련 지식을 배운 지오와 선율에 의해 깨어난 수호를 통해 ‘삶과 죽음‘, ‘기억과 고통‘ 등을 암울하지만 흥미로운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독자로 하여금 첫 페이지를 읽는 순간부터 완벽하게 ‘다이브‘ 된다.

특히 인간과 외적으로 전혀 다를바 없지만 기계이기에 먹거나 잠을 잘 필요도 없고 원하면 고통스럽거나 지우고 싶은 기억은 삭제도 할 수 있는 기계인간으로서의 삶이 온갖 두려움으로 지칠 때가 많은 내게는 내심 부러운 삶처럼 보였다. 하지만 모두가 기계인간이 되지 않는다면 역시나 ‘소외‘될 수 밖에 없는 여러 상황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결국집단으로부터 소외당한다는 것은 소외당하는 이의 능력이나 커뮤니케이션의 부족만은 아니라는 것을 역으로 알게 해주는 부분이기도 했다.

#다이브 #소설다이브 #창비 #소설Y #소설Y클럽

망가진 기계를 고치듯 잘못된 부분을 풀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면 그 반대도있다. 어떤 문제는 누구도 잘못하지않았기 때문에 생겨나고, 그 상태로 거기에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봄 에디션) - 기분 따라 행동하다 손해 보는 당신을 위한 심리 수업
레몬심리 지음, 박영란 옮김 / 갤리온 / 2020년 6월
평점 :
품절


인생은 자유로워 보야도 언제나 족쇄를 달고 추는 춤과 같다. 우리가 무언가에서 벗어나려고 할수록 스스로 손발을 묶는 셈이 된다. 내 크고 작은 마음들에 관심을 가져주자. 진정으로 자유로워질 수 있는 방법은 내 안에 있다. - P145

너무 걱정하지 마라. 불안함을 느끼는 건 당신만이 아니다. 불안함은 대개 너무 많은 생각에서 비롯된다. 벌어지지 않은 미래의 일들을 머릿속으로 그리는 버릇을 버리고 당장 눈앞에 닥친 일을 하자. 할 수 있는 일은잘 해내고 할 수 없는 일은 시간에 맡겨도 된다. 이를 위해서는 해야 할 일을 작게 세분화하여 하나하나 천천히진행하는 것이 좋다. - P1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페에서 공부하는 할머니 (벚꽃 에디션) - 인생이라는 장거리 레이스를 완주하기 위한 매일매일의 기록
심혜경 지음 / 더퀘스트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마다 카페를 좋아하는 이유야 제각각이겠지만 나는 트인 공간이 주는 공공성을 즐긴다. 혼자 있음에도 외롭지 않고, 여럿이 함께 있지만 따로 시간을 보낼 수 있어 좋다. - P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작과 비평 195호 - 2022.봄
창작과비평 편집부 지음 / 창비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봄의 위기는 기후위기와 무관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삶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 전환 및 이를 통해 사회구조를 바꾸려는 노력 없이는 해결할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이렇게 볼 때 돌봄의 현장에서 나와 내가 속한 사회, 나아가 인간 너머의 세계를 돌보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은 모두최일선 공동체의 일원이라 할 수 있으며, 돌봄의 공백 속에서 받는 고통을극복하기 위한 실천은 모두 새로운 세계를 위한 투쟁의 최일선일 것이다. - P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 좋아! 까까똥꼬 시몽 24
스테파니 블레이크 지음, 김영신 옮김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에게 돈의 가치를 알려주려고 읽었는데 오히려 제가 배우네요^^ 귀여운 그림과 함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그림책!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4-28 10:2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