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에서 민주주의로
진 샤프 지음, 백지은 옮김 / 현실문화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유를 위한 투쟁의 가장 강력한 수단은 정치적 저항, 즉 비폭력 투쟁이라는 것이 우리의 주장입니다. 45쪽

 

독재, 투쟁, 비폭력 저항. 세 단어를 언급하면 마치 독립투사 혹은 정치나 사회문제에 관심이 많은 정당인 등으로 보이기 쉽다. 책 <독재에서 민주주의로>를 읽으면서 분단국, 휴전국가의 국민으로 역사적 이데올로기에 휩싸여 오랜시간 ‘저항’ 혹은 ‘투쟁’이란 단어를 기피하고 살아온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민주주의를 떠올리면 제대로 정착된 민주주의가 아니라 ‘북한’보다는 낫지 않느냐 하는 소극적 민주주의속에 살아온 것은 아닌가 싶다. 지난 날 한국에 있었던 저항은 비폭력 저항만은 아니었다. 어쩌다 던진 돌이 아닌 계획된 총알에 가족을 잃은 국민들은 각자 자신이 가진 가장 독한 무기를 가지고 거리로 나왔다. 박숙자 작가의 <살아남지 못한 자들의 책>을 읽다보면 그들의 저항은 <독재에서 민주주의로>의 진 샤프에 의하면 제대로된 계획없이 거리로 나온 것이나 다름없다. 그렇기 때문에 시대를 노래한다는 시인들에게서 조차 공감받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진 샤프의 비폭력 저항과 관련된 내용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협상’에 관한 부분이었다. 노사가 원만하게 극적으로 협상안 타결 등의 신문기사를 접하면서 협상은 어찌보면 ‘비폭력’이란 단어에 가장 적합한 해결방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사합의와 독재자를 무너뜨리는 것과는 애초에 갈등 배경이 다르고 상황이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이 다소 충격이었다. 뿐만아니라 어르신들이 흔히 말하는 ‘좋은 게 좋은 것이다.’ ‘배만 곯지 않으면 된다.’라는 식의 가정환경이 그런 사고를 더욱 키운 것인지도 모른다. 더불어 이전의 우리가 보여준 ‘폭력적 저항’은 진 샤프의 말처럼 또 다른 독재, 폭력을 키웠다. 독재를 무너뜨리고 또 다른 독재에 휘둘리는 모습을 보고 자란 우리 세대는 마찬가지로 애초에 저항할 의지마저 사라진 것은 아니었을까.

 

대다수의 사람들은 구체적인 지시 사항이 주어졌을 때뿐 아니라 전체적인 개념을 이해할 때 더욱 적극적으로 행동에 나섭니다. 대전략에 대한 지식은 투쟁에 참여한 대중들의 사기와 적극성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적절한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101쪽

 

<독재에서 민주주의로>의 책은 가볍다. 페이지가 많지 않다는 이야기도 되고 동시에 우리가 전혀 모르던 이야기만을 설파하지도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작은 책이 담고있는 의미와 내용, 사례들은 결코 가볍지 않다. 비폭력 저항만이 휴유증을 최소한으로 하여 독재를 무너뜨릴 수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기술적인 계획과 내부안에서 타오르는 저항정신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외부자극이나 영향이 큰 것은 분명하나 내부에서 타오르지 않고서는 결코 실질적인 결과를 낳지 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