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슈비츠의 여자들
캐롤라인 무어헤드 지음, 한우리 옮김 / 현실문화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노벨문학상 소식을 접한 후 그녀의 작품 중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를 읽고 전쟁속에서 늘 군인들에게 짓밟히고 당하기만하는 약한 존재가 아니라 사상의 옳고 그름을 떠나 주체적으로 참전했던 여성들이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몇 달 뒤 캐롤라인 무어헤드의 이 책 <아우슈비츠의 여자들>를 만나게 되었지만 이런저런 프롤로그만 읽은 뒤 해를 넘겼고 이제는 계절마저 지나 영화<나는 부정한다>관람을 계기로 이제서야 다 읽어냈다. 읽었다가 아니라 읽어냈다라고 표현해야 맞을 것 같다. 분량도 분량이지만 겨우 진정된 가슴이 다시금 먹먹해졌기에 특히 어느 독자의 말처럼 페이지를 넘길수록 '여자들'의 시련도 커졌기에 소설을 읽듯 페이지를 넘기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왜 유령들의 이야기를 믿어야 하죠? 돌아오기는 했지만 어떻게 돌아왔는지 설명하지는 못하는 그들의 이야기를?" 17쪽


책의 전체적인 내용은 출판사에서 소개한 것처럼 아우슈비츠에 있었던 유대인도 아닌데다 남성도 아니었던 제 의지로 독일 나치에 대항했던 여성들 중 생존자들 혹은 그들의 유족들과 만나 나눈 이야기들과 관련 문헌을 정리했다. 초반에는 레지스탕스로 활동하게 된 계기를 개별적인 사연과 함께 들려주고 아우슈비츠에서 벌어졌던 참상 또한 함께 이야기 한다. 그들이 어떻게 죽었는지 목격된 경우도 있지만 그마저도 그저 '연기가 되었다'라는 표현처럼 사망했음을 짐작할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부끄러웠던 것은 프랑스 여자들을 떠올릴 때 '파리지엔'을 떠올릴 뿐 '레지스탕스'로 활동했던 여성들을 그 뒷전으로 생각했던 것이고, 고민이되었던 부분이 제국주의, 공산주의 그리고 반유대주의가 같지도 않지만 서로 대립하지도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한국에서 그리고 남한에서 나고 자란 내게 공산주의는 부정되는 것이고 제국주의역시 부정되는 것이며 동시에 반유대주의도 마찬가지로 부정되어야 하는 것인데 이 책을 읽다보면 반드시 그렇지만도 않고 어느 순간 무엇이 과연 옳은것인지 그 판단을 명확하게 내리기가 애매해졌다. 다만 한가지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그저 '가만히 있는 것' 이 결코 옳지 않다라는 사실이었다. 레지스탕스로 활동하게 된 여성들의 사정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부모의 영향을 받은 경우도 있지만 오히려 이웃나라 혹은 이웃에게 가해지는 납득될 수 없는 폭력에 반하여 자신의 의견과 모두가 잘사는 사회를 위해 자신의 목숨은 물론 가족의 안위마저 내놓고 투신하는 여성들이었다.


"나를 바라보는 사람은 내가 살아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나는 살아 있지 않다. 나는 아우슈비츠에서 죽었다. 그러나 아무도 그것을 알지 못한다." 482쪽


결국 자신들이 어떻게 돌아왔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저자의 말처럼 어느 누구하나 '혼자'서 살고자 했던 것이 아닌 '함께'살고자 했던 그 마음이 그들을 아우슈비츠로 이끌었으나 같은 이유가 역시나 그들을 그 지옥에서 구해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위의 발췌된 생존자 샤를로트의 '나는 살아 있지 않다.'라는 말이 오래도록 남을 것 같다. 그녀를 살아있지 않게 만드는 것이 과연 나치인가, 아니면 또 다른 그 무엇인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