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의 아침수업 - 인생을 바꿀 12가지 지혜
KMA리더스모닝포럼 강연자 12인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침이라면 대략 몇 시즘을 말할까? 학창시절 9시 정규 수업 한 시간전에 있었던 보충수업도 7시50분 전후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책 [리더의 아침수업]의 바탕이 된 리더들의 아침수업 시작이 6시30분 이었다고 한다. 같은 시간 반쯤 감긴 눈으로 굿모닝팝스를 듣는 나와 그들의 차이가 확연하게 느껴졌다고나 할까. 리더는 누구나 시도해볼 순 있어도 아무나 되는건 아니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들이 들었던 수업 중 가장 인기 있었다던 12분의 강사들의 강연을 정리 한 책이 바로 [리더의 아침수업]이다. 그 수업에 들어갈 만큼 부지런하지도, 리더도 아닌 내가 책이라는 매개를 통해 접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고맙고 기쁠따름이다. 12분의 강의 모두 좋은 강의지만 그 안에서 또 몇 분의 강의를 골라서 적어본다.


오랜 시간 영화감독을 하면서 느낀 영화에 대한 속성은 다음과 같다. 영화가 인문학과 과학의 집합체라는 것이다. 한 시대를 시나리오에 담아내기 위해서는 문학적, 철학적, 역사적인 토대 없이는 작업이 불가능하다. 73쪽


<왕의남자>로 천만관객 감독 반열에 올라선 이준인 감독의 얘기다.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주로 다룬 이감독의 영화 중 가장 뜻밖의 수작이라고 생각하는 작품은 <사도>다. 영화는 물론 드라마와 소설 등 다양한 매체의 소재로 사용된 사도세자의 이야기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관객들의 호응과 감동을 이끌어 냈기 때문이다. 시나리오와 배우들의 연기 그리고 이 모든것을 아우르는 기술, 즉 인문학과 과학이 제대로 조화를 이룬 작품인 셈이다. 그런가하면 <동주>의 경우 한번도 영화나 드라마로 다뤄진 적이 없었다고 해서 좀 의외였다. 뿐만아니라 그 시절 다른 문인들과는 달리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인정받는 시인이라는 점도 놀라웠다. 역사를 공부하면서 '사실'여부에 집중하기보다 영화인의 시각으로 허구에서 진실을 향해 달려갈 수도 있다는 다른 시각을 깨닫게 되었다.


내 이름은 내가 지은 게 아니다. 태어날 때 부모를 선택하거나 조국을 선택하지도 않았다. 또 타고난 능력을 능력 메뉴판에서 선택한 것도 아니다. 현재 나의 지식과 경험은 다 밖에서 얻은 것이다. 오롯이 내 속에서 만든 나만의 것은 없다. 120쪽


위의 말은 이형우 마이다스아이티 대표가 이기의 삶이 아닌 이타의 삶을 살아야 하는 까닭을 설명한 것이다. 애초에 자기의지로 태어나 능력을 얻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내가 가진 능력을 반대로 갖지 못한 이들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는 말에 해당 기업에 근무하는 사원들이 진심으로 부러워졌다. 사원의 능력을 최대한 뽑아 내어 회사 이윤을 위해 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서로 공유하고 나누면서 성장할 수 있는 인본경영의 핵심을 옅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의 중요성을 언급할 때 조차 그 시간을 혼자가 아닌 여럿을 위해 사용할 경우 그 수 만큼 부가가치가 늘어난다고 말하는 것에서도 그의 경영방식을 알 수 있었다.


[리더의 아침수업]의 내용은 여타의 강연정리모음집과는 다른 느낌을 주었다. 우선 내용이 결코 만만치 않다라는 것과, 기존에 알고 있던 사실이나 다뤄진 내용보다는 새로 깨닫게 된 부분이 많다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지금 내가 속해있는 리더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는지 강연자들을 통해 짐작해보면 내가 앞으로 어떻게 가야하는지도 알 수 있겠구나 하는 미래지향적인 사고를 하고 만들었다는 점이다. 지금은 리더가 아니지만 리더가 되고 싶은 사람들, 혹은 이상적인 리더란 무엇인지 알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