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리자 바이러스
티보어 로데 지음, 박여명 옮김 / 북펌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여름, 읽고 싶은 소설은 단연 스릴러다. 그중에서도 사이코패스가 등장하는 잔인한 범죄소설도 흥미롭지만 종교 혹은 예술과 관련된 역사적 인물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소설은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를 넘나들며 더 짜릿한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모나리자 바이러스]가 딱 그런 작품이었다. 우선 '아름다움'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 즉 아름다운 것은 선한 것이며, 추한 것은 '악한 것'이라는 개념을 다시금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한다. 분명 우리는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 '추한'것보다는 아름다워지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아무리 정신 건강을 되찾아도 못생기고 뚱뚱하면 소용없어. 저기 저 바깥세상은 너무나 고약하거든. 세상은 악해. 매들린. 절대로 이 사실을 잊어선 안 돼!" 24쪽​

여러 논란속에서도 여전히 각국에서 펼쳐지는 미인대회만 보더라도 아름답다는 것은 사회에서 대접받는 '신분상승'의 효과마저 지니고 있다. 그런 아름다움의 정의를 바꾸고자 하는 사람이 작품에서 등장한다. 그는 다름아닌 컴퓨터 바이러스로 재벌에 오른 파벨바이시다. 그의 성공 덕분에 아들인 파트리크 바이시역시 엄청난 재산을 소유하고 있다. 파벨바이시가 처음부터 아름다움, 황금비율을 저주했던 것은 아니다. 아내가 성형수술 도중 사망하고, 자신도 헬기사고로 얼굴이 일그러진 후 세상에 존재하는 아름다움을 아예 없애버려야 겠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이렇게 말해버리면 소설의 큰 핵심을 다 노출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파벨 바이시의 행동은 약간의 추리만 해도 초반부터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우리의 흥미를 끄는 것은 아름다움이라고 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 '모나리자'와 모나리자를 그린 다빈치가 이 작품에서 어떻게 버무려지느냐인 것이다. 액자구성이라고 말하는 작품 속 작품. 1500년경의 쓰여진 일기는 그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로웠기 때문에 그 책이 별도로 출간되어 나오면 좋겠다는 희망사항까지 품게 만든다. 그리고 과거 유명한 슈퍼모델에서 신경미학자로 전업한 헬렌의 인생또한 아름다움이 어떻게 사람을 '비극'으로 끌어내리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기도 하다. 그런가하면 헬렌이나 파벨을 통해 자녀가 결코 짐작조차 할 수 없는 부모들의 자식사랑도 이 작품에서는 마음을 울리는 부분이기도 하다. 자식 때문에 자신의 삶이 일순간 무너진듯 해도, 심지어 자식이 자신을 죽이려고 했어도 말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재미있는 스릴러가 갖춰야 할 요소는 하나도 빠짐없이 갖췄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너무나 화려하고 각자 이야기 소재가 많다보니 개별적인 얘기가 많이 누락된 것 같아 아쉬웠다. 밀너나 헬렌의 이야기, 그리고 파트리크의 이야기 등을 좀 더 늘려서 한권이 아니라 시리즈로 나왔어도 좋았겠다 싶은 아쉬움이 들 정도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