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즌스 - 위대한 도전을 완성하는 최고의 나를 찾아서
에이미 커디 지음, 이경식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 표지를 보면 인간모형이 두 팔을 활짝 열고 생동감 있게 '으쌰'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모형이기 때문에 인종도, 신분도 그 어떤 것도 알 수 없다. 한마디로 이 모형은 우리가 무엇을 그려주고, 입혀주고, 동작을 완성시키느냐에 따라 그게 무엇이든, 누구든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듯 싶다. 프레즌스의 의미는 존재감과 실재감 그리고 사람이나 사물이 특정한 곳에 있음을 뜻하는데 이 책의 저자인 에이미 커디가 '잔신의 진정한 생각, 느낌, 가치 그리고 잠재력을 최고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조정된 심리 상태라고 덧붙였다. 만약 저자가 TED에서 했던 강연을 본 독자라면 그녀가 말하는 프레즌스가 정확히 어떤 개념인지 책을 읽기전에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언급한 강연에서의 핵심 내용은 우리가 '무엇을'이루고 싶거나 되고싶은 모델이 있다면 마치 그렇게 된 것처럼 따라하는 것 자체가 큰 도움이 된다는 내용이었다. 언제까지 흉내낼 것인가? 비슷해질때까지? 아니다. 완벽하게 원하는 그 사람이 될때까지 흉내내는 것이다.이 모든 것이 개인의 힘으로부터 시작된다. 자신을 통제하는 것도 바로 힘의 한 부분으로 우리가 부러워하는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등의 가장 큰 장점이 자기절제와 통제라는 부분을 보면 이해가 쉽다. 물론 통제와 절제라는 부분에서 사회적인 힘과 겹쳐지는 부분도 있지만 이는 규칙이나 외적인 힘에 의해 자발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그 힘의 한계는 당연히 개인이 스스로 통제하는 힘에 비해 약할 수 밖에 없다. 저자가 말하는 '프레즌스'가 이해되었다면 이제 우리는 행동부터 조금씩 달라져야 한다. 우리는 끊임없이 흉내내야 한다. 될때까지. 우선 자세부터 바꿔보자. 그림을 통해 설명하는 자세들은 우리가 드라마에서 소심한 사람, 혹은 비자발적 아웃사이더들의 모습을 그대로 옮겨온 것처럼 느껴진다. 엎드리거나, 두 팔로 자신을 감싸거나 두 손을 모아 초조한 듯 앉아있는 자세는 보기만 해도 기운이 빠진다. 반면 여유롭고 능력있는 드라마나 영화속 인물들은 저자가 말하는 강력한 자세들을 했던 주인공의 모습과 일치한다. 양손을 허리에 두고 똑바로 서있기, 두 팔을 뻗어 손끝으로 책상을 지탱하며 서있는 자세는 영화속 리더들이 사람들을 설득할 때 보여주던 자세라는 것을 기억할 것이다. 이처럼 자세만 바꾸더라도 우리는 좀 더 강력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고, 그런 정신적인 효과를 통해 실제 결과를 바꿀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싸구려 속임수처럼 들릴지 모르지만 이 방법은 효과가 있다. 자기가 강력하다고 혹은 무력하다고 느꼈던 순간을 떠올리게 한다던가, '통제', '명령', '권위' 같은 권력을 연상시키는 단어들 혹은 '복종', '항복', '부하' 같은 무기력을 연상시키는 단어들을 잠깐 동안 보여준다든가, 상사와 부하직원의 역할을 맡겨서 상황극을 잠깐 하게 한다든가 하는 방식의 아주 작은 생각 훈련만으로도 사람의 정신적. 정서적 상태의 차이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심지어 이 사소한 자극으로 무의식 차원의 진짜 감정을 이끌어낼 수도 있다. 181쪽


 이 책을 읽다보면 어쩌면 정말 새롭다 싶은 이야기는 없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책이 기존에 자기계발서들과 제대로된 이론으로 우리를 설득시킨다는 것에 있다. 글쓰기 특강의 저자 유시민 작가가 들려중 강연 내용중에 글로써 누군가를 설득시킬 수는 없다고 했다. 어떤 사람이 의사결정을 내릴 때 잘 몰라서 잘못된 결정을 내리게 될 경우 그 사람이 모르고 있는 것을 알려주거나 정보를 전달해줌으로 해서 결정을 바꿀 수 있게 도울 뿐이지 설득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지금보다 좀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수많은 자기계발서, 긍정심리학에 관한 책들을 읽어 왔다. 하지만 분명 책을 읽을 당시에는 고개를 끄덕이고 손으로 직접 작성해야 효과적이라고 해서 실제 계획서까지 써봤지만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다. 왜냐면 행동까지 이끌어 낼 만큼 '유용한 정보, 혹은 설득'당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세분화해서 설명해주고 있는데 심리학 학자답게 그렇다더라, 그럴 것이다, 내가 그랬다 정도에서 멈추지 않기 때문에 내용자체가 꽤나 방대하고 사례 또한 다양하게 실려있다. 이정도면 정말 의사결정을 바꿀 만큼의 양이란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나는 전혀 다른 접근법을 시도했다. 딱 한 번만 달리기로 마음을 먹은 것이다. 딱 한 번만 달리고, 그게 마음에 들면 다음에 한 번 더 달리기로 했다. 그렇게 나는 내가 낼 수 있는 속도만큼만 그리고 내가 기분 좋게 느낄 수 있는 속도만큼만 내면서 달렸다. 달리기를 정말 잘하는 친구들과 함께 달리려 하지 않았고, 다리에 쥐가 나는 걸 느끼면서까지 억지로 달리려 하지도 않았다. 장기적인 목표는 완전히 내려놓았다. 그 목표는 너무도 크고 멀었기 때문이다. 40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