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 기분
박연희 지음, 쇼비 그림 / 다람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타이틀이 '명왕성 기분'이라길래 벅차고 설레는 그런 기분을 뜻하는 줄 알았다. 아주 조금 너무 먼 애잔한 그리운 마음이 들 때를 표현하는 건가싶기도 했고 또 아주 조금은 우리말 방송작가를 했던 저자의 이력 때문에 순우리말 단어인가 싶기도 했고. 책을 읽고 알게된 '명왕성 기분'이란 것은 기분이 좋을 때 뜨는 그런 기분이 아니었다. 저자의 표현을 그대로 옮기자면 '끝도 없는 어둠만이 가득할 것'같은 기분이며 가족이 곁에 있어도 나 홀로 있는 듯한 선득한 기분이었다. 선득한 기분이란 '갑자기 서늘한 느낌이 드는 모양 혹은 갑자기 놀라서 마음에 서늘한 느낌이 드는 모양이란 뜻의 부사'다. 지금은 덜하지만 내게도 '명왕성 기분'이 찾아올 때가 있는 데 분명 창밖에 세상이 환한 낮에 잠들었는데 깨어보니 어둑해졌을 때 그런 기분이 들었다. 아무것도 못하고 시간을 흘려버린듯한 그런 기분. 그럴때면 꼭 '명왕성 기분'이 찾아들곤 했는데 그 선득함이 싫어서 낮잠을 안자려고 노력해보기도 했다.

40

어릴 때부터 자주 느끼는 어떤 기분이 있다.

한 마디로 표현할 수 없었던 이 기분에

나름대로 이름을 붙여주었다.


'명왕성 기분'


 

 첫 페이지를 넘겨보고 너무 낯간지러운 이야기가 아닌가, 우리말 단어를 글속에 녹여내려고 어울리지 않는 문장을 이어붙인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이 약간 들기도 했다. 저자의 어린시절 부끄러웠던 이야기, 영국 지하철 안내방송과 관련된 이야기 그리고 감자전, 버터에 비빈 밥에 얽힌 사연을 넘어가면서 이 책이 정말 편하고 좋아졌다. 처음에는 대충대충 넘겨가며 생경한 단어가 보여도 그런가보다 했던 것이 이야기에 빠지다보니 다 신기하고 메모지에 옮겨적게 되었다. '많은 방'과 '마늘 빵'에 관한 에피소드를 읽을 즘에는 얼굴에 미소도 잦아졌고 남편을 만나게 된 사연은 가슴 한켠이 뭉클해졌다. 저자약력에 적혀있던 '영국경찰이 안아주어'란 말이 어떤 의미였는지 거니챌 수 있었다.



 

108

그 사람 말대로 술로 죽고 싶어 했던 때는 지났다.

아무리 속상한 일이 있어서 술 먹고 죽고 싶어도,

술 없이 죽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사람과 함께 늙어 죽으면 되는 거다.


 

책 속에 별도로 저자가 표기해주고 의미를 달아준 단어는 총 43개라고 맨 뒤에 부록처럼 별도의 페이지로 알려주지만 의미가 달리지 않은 순우리말도 책을 읽다보면 자주 만날 수 있다. 책을 읽는 동안에는 리뷰에 순우리말을 가급적 10개가 넘게 넣어봐야지 했는데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소리내어 읽었을 때 문장속에 자연스럽게 녹아있듯 적고 싶은데 억지로 끼어넣다보니 내 국어실력이 데데해보였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책에서 배운 좋은 표현과 저자가 경험한 혹은 저자가 들려주고 싶었던 좋은 이야기들을 시나브로 잊고 살겠지만 '명왕성 기분'이 찾아오더라도 이젠 덜 선득할 것 같다. 이 책이, 그리고 이 책을 쓴 저자가 나를 벗해주고 있다는 것을 알았으니까. 


 

232

너도 괜찮기를.

문득 문득 명왕성 기분이 들 때

내가 널 위한 무기가 되어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