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우 러브
캐런 매퀘스천 지음, 김진숙 옮김 / 북플라자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소설 헬로우러브를 읽는 동안 머릿속에 여러 편의 영화가 지나갔다. 충성심으로 가득 찬 개, 혹은 고양이가 등장하는 영화가 아닌 온통 사랑, 사랑, 사랑만을 이야기 하는 내용들이었다. 대표적으로 한 편을 꼽자면 러브 액츄얼리. 러브 액츄얼리에 등장하는 여러가지 이야기가 강아지 '애니'를 통해 댄과 앤드리아가 모두 보여준다고 말해도 틀리지 않을 것 같다. 그만큼 재밌고 뭉클했다.

댄은 정말 사랑했던 아내와 사별했고 앤드리아는 남편이 바람을 피워 이별했다. 괴로워하는 댄에게는 딸 린지와 애니가 있어 그나마 견딜만했다. 그러던 어느 날 린지가 보는 앞에서 애니를 도둑맞는다. 스토리는 정말 간단해 보일지도 모른다. 그 개를 앤드리아가 찾아주거나 대신 기르고 있었겠구나 싶겠지만 작가 캐런 매퀘스천이 이야기를 끌어가는 방식은 그리 단순하지 않았다. 앤드리아가 이별하고 그녀를 걱정하는 절친 덕분에 뜻하지 않고 어떤 기묘한 모임에 참석하는 장면이 초반에 등장하는데 자기개발서 '시크릿'의 내용과 흡사해보였다. 간절하게 소망하고 구체적으로 적어야지만 내 것이 될 수 있다는 뭐 그런 내용의 모임이었는데 그 모임과 관련된 내용부터가 참 좋았다. 그런 모임에 나타나는 사람들은 분명 조금 유별하고 그다지 큰 걱정없이 단순하게 심심해서 킬링타임으로 참석했을거라고 앤드리아는 생각한다.  분명 독자 대부분도 앤드리아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무한 긍정은 더이상 종교단체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큰 의미가 없다고들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자신이 암에 걸려 하루하루 죽어가는 사람, 집에 불이나서 트라우마로 남은 사람, 가족을 잃은 사람 등 어쩌면 연인과 이별한 앤드리아의 상처는 그나마 견딜 수 있는 문제처럼 느껴졌다. 타인의 슬픔과 자신의 슬픔을 비교하며 이겨내라는 것은 아니지만 모임의 주최자의 말처럼 자신이 원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적는 과정이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종교색이 전혀 없다고 말할 순 없지만 앤드리아가 회복되는 과정이 지나치게 과장되거나 극적이지 않아 좋았다.

댄 역시 모린의 적극적인 소개로 뜻밖의 여인을 만나게 되는데 그 부분도 정말 와닿았다. 어느 누군가에게는 정말 완벽하고 좋은 사람처럼 보이지만 정말 그 사람이 어떤지는 아무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헬로우러브는 흥미로울 만한 소재와 정말 사람이 아닐까 싶은 똑똑하고 사랑스러운 강아지 애니덕분에 누가 읽어도 재미있는 소설로 많은 사람들이 한 줄리뷰에서 보여준 것처럼 강아지가 정말 기르고 싶어질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세상에 모든 개가 애니같지는 않다는 사실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