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
나딘 스테어 지음, 김혜남 옮김, 고가라시 퍼레이드 그림 / 가나출판사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인생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은 그다지 많은 텍스트가 나오지 않는다. 그저 한 편의 시, '인생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일 뿐이다. 작품처럼 저자 나딘 스테어에 관한 정보도 그리 많지 않다. "경영의 신 피터 드러커가 노녀에 썼다'는 설이 인터넷에 나돌정도라고 한다. 원저자가 85세의 할머니 나딘 스테어든 혹은 피터 드러커든은 중요하지 않다. 인생을 먼저 살다간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었던 혹은 스스로 느꼈던 아쉬움 그자체로도 충분히 우리는 느끼는 바가 생기기 때문이다.


시의 전반적인 내용은 좀 더 즐겁게, 좀 더 철없이 살겠다고 다짐한다. 좀 더 어른스럽지 못했던 것이 후회되는 것이 아니라 더 철없이 굴지 못했던 것이 후회라고 말하는 것은 어찌보면 그만큼 어른스럽게, 깎듯하게 최선의 자세로 삶을 살았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철없이 살지 못했노라고 후회할 수 있는 것은 스스로 생각하기에도 정말 최선으로 살았기 때문에 할 수 있는 특권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대책없이 살던 사람이라면 오히려 시를 읽고 더 제멋대로 살기 보다는 그와 반대로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 시와 함께 어우러진 일러스트를 보면 처음에는 주름이 자글자글 한 할머니의 모습에서 어느 순간 젊은 시절 아리따운 아가씨의 모습으로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는 데 마치 할머니가 시를 지을 때 상상속에서 혹은 추억속의 과거를 떠올리며 행복하게 미소짓는 듯한 장면을 목격한 듯한 기분이 들었다.  '콩을 덜 먹고 아이스크림을 더 많이 먹을 거야.'라는 구절만 봐도 할머니는 정말 모범적으로, 부모님이 좋다고 하는 것을 위주로 살아오셨구나 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아이들이 가장 싫어하는 음식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콩'은 기피하고 싶은 대표적인 음식이기도 하다. 물론 가장 훌륭한 단백질 식품으로 엄마가 꼭 먹이고 싶어하는 음식이기도 하고 말이다. 아이스크림은 콩과는 정반대다. 많이 먹으면 감기에 걸린다는 동요가 있을만큼 아주 더운 한여름이나 칭찬받을 만한 어떤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쉽게 먹을 수 있는 식품이 아니기 때문에 이 짧은 문장을 통해서도 할머니의 삶을 옅보는 것이 그리 어렵지는 않았다. 부모님 혹은 관습에 맞추기 보다는 자기 의지로 살아보겠다 하는 할머니의 마음이 느껴진다.

 

할머니의 삶이 바르고 정리된 책상서랍같았을 거란 내용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구절도 있다. '나는 매일매일을 순간순간을 바르게 사록자 했던 사람들 중의 하나였지.' 구절 뒤에는 그렇게 살았던 삶안에서도 즐거운 시절이 분명 있었지만 그래도 다시 산다면 좀 더 즐겁게 살겠다고 더욱 강조해서 말한다. 즐겁게 산다는 것이 할머니가 이야기 한 것처럼 회전목마를 더 많이 타는 것, 강에서 수영을 하는 것, 춤을 더 많이 춰보는 것일 수도 있지만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해보겠다는 아쉬움을 남기지 않는 삶일 것이다. 이 시를 읽는 누군가에게 이렇게 해봐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 후회가 없이 현재를, 원하는 것을 충분히 즐겨보라는 할머니의 이토록 짧은 시가 누군가의 수첩에, 지갑속에 넣어져 오랜 시간 간직하고 이어지고 사랑받는 까닭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