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찰의 인문학 - 같은 길을 걸어도 다른 세상을 보는 법
알렉산드라 호로비츠 지음, 박다솜 옮김 / 시드페이퍼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관찰의 인문학 - 알렉산드라 호로비츠 지음
머리가 아프거나 생각 정리가 잘 되지 않을 때 무작정 걷는다. 낯선 길을 걸을 때도 좋지만 늘 다니던 동네를 산책하는 것도 즐겁다. 가장 재미있는 산책길은 책에서 잠깐 나온 것처럼 이사가기 위해 새로운 동네를 살펴볼 때라고 생각한다. 살던 동네와 어느 점이 다른지 차는 많이 다니는지 쓰레기 수거는 잘 진행되고 있는지 등 전에 살펴본 적 없던 것들까지 꼼꼼하게 관찰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이다. 이 책이 단순히 보지 못했던 것을 더 자세히 살펴보라는 내용으로 이어졌다면, 그래서 작가 혼자 이곳 저곳 산책하는 내용만 담았어도 재미있을 것이다. 산책을 즐겼던 옛 사람들의 책만 봐도, 근래에 인기 있던 베스트셀러만 봐도 그저 새로운 동네를 길고양이처럼 누비고 다니는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관찰의 인문학! 그보다 한 발 더 나간 산책이 책 속에 담겨져 있다. 총 12번의 산책 여행이다.
첫 번째 산책은 저자가 작심하고 관찰하며, 이전에 관심두지 않았던 것을 관심가지고 산책했다. 산책하고 나서 스스로 자신하며 이정도면 완벽하다고 뿌듯해 한다. 하지만 두 번째 산책, 전문가들과 함께 걷기 전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아들과 산책부터 놀라운 사실을 발견한다. 아이의 산책은 어른과는 다르다. 개를 연구하면서 관찰만큼은 자신있다고 했던 저자조차 아이, 동물, 시각장애인 등 개별적인 특성에서 오는 차이만큼은 쉽게 따라갈 수 없었다. 걷는 것 자체가 산책이지만 걷고 멈추는 그 반복 또한 산책의 일부다. 알파벳 'O'에 집착하고 길가에 돌맹이에도 탄성을 지르는 아이만 봐도 더 순수한 시각으로 산책을 즐길 수 있다. 세번째 산책 부터는 특정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한다. 목차를 통해 총 12명이 누구인지 확인하며 호기심이 생긴 산책들은 음향 엔지니어 스콧 레러와 반려견 피니건과 함께 한 산책이었다. 하지만 막상 읽어보니 지질학자 시드니 호렌슈타인과 함께 한 산책도 재밌었다. 어린시절 땅만 쳐다보던 버릇 때문에 곧잘 넘어지곤 했는데 길을 가다가 돌멩이를 유심히 바라보는 사람은 거의 시드니 박사일 확률이 높다고 하는 말에 동질감을 느낀 것이다. 도시학을 공부했던 학부시절이 떠올라 프렌드 켄트와 함께 걷는 것도 재미있었다.
프레드 켄트에게 중요한 것은 시간이 아니라 공간이다. 도시 공간이 어떻게 사용되고 방치되는지, 무엇이 그 공간을 유용하거나 불편하게 만드는지 같은 문제가 그의 관심사다. -187쪽-
이 부분을 읽다보면 도시학자가 서울 곳곳을 산책하며 공간개발과 과거와 개발된 현재를 비교한 책이 떠올랐다. 그 책을 보면서 늘 상점을 찾기위해 오가던 거리가 많이 달라보이고 공부해야 할 과제가 많다고 느꼈던 그때가 새삼 떠올랐다. 그런가하면 시각이 아니라 냄새를 쫓아 산책로를 정하는 피니건과 함께 하는 산책도 기대했던 것 만큼 재미있었다. 열두 번의 산책 모두 즐겁고 신선하며 이전에 알지 못했던 부분들을 알게되어 길위에서의 독서와 책상에서의 독서 양쪽 모두를 경검할 수 있었다. 다만 책 원서 자체가 어려워서 그런지는 모르지만 몇개의 문장이 도저히 이해가 안될정도로 해석이 잘된건가 의심스러울 때가 있긴 했다. 지나치게 전문적인 서적이 아닌 데도 불편함이 느껴서 조금 아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