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장 사소한 구원 - 70대 노교수와 30대 청춘이 주고받은 서른두 통의 편지
라종일.김현진 지음 / 알마 / 2015년 1월
평점 :
70대 노교수와 30대 청춘이 주고받은 서른두 통의 편지. 가장 사소한 구원.
얼마전 읽었던 책에서 프랑스 여인들은 정말 친한 친구가 아니라면 자신의 단점 혹은 힘겨웠던 과거이야기를 남에게 털어놓지 않는다고 했다. 한국 외에 타국에서 살아본 적이 없어 정확하게 모르지만 적어도 한국에서 30여년을 살아본 경험을 바탕으로 말하자면 누가 더 힘들었는지, 난관을 극복했는지 자랑하듯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생각한다. 몇년 전 인기있던 모 프로는 연예인들이 나와 그동안 말하지 못했던 부끄러운 일이나 눈물없이 들을 수 없는 가족사 등을 고백해서 가장 처절하고 안타까운 사연을 들려준 사람을 승자로 꼽아 시상했을 정도니 나의 판단이 아에 무리라고는 생각지 않는다. 서로 잘났다고 우기는 것도 꼴불견이지만 서로 경쟁하듯 자신의 과거사가 더 비참하고 힘겨웠다고 말하는 것도 가히 좋은 모습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남자들의 군대 축구 얘기를 그닥 반기지 않는 여자들의 심리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결국 산다는 것은 힘든 고행이며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겨내느냐에 따라 행불행이 나뉘는데 가장 사소한 구원에서 라종일 교수가 현진에게 들려주는 이야기의 맥락이 바로 그것이었다.
무슨일이 있었고, 어떤 고통으로 30대 청춘이 노교수에게 신세한탄을 하며 '구원'을 요청했는지 본인의 의사를 떠나 굳이 알고 싶지도 않았다. 어떻게든 글을 써서 푼돈이라도 벌고 싶은 이들에게는 잘안팔리고, 보잘것 없는 비정규직원 이라 한탄하는 현진씨가 그저 부러울 수 밖에 없는 입장이며 그녀가 체감하는 것처럼 번듯한 직장에 다니며 서른이 되기 전 결혼해서 아이와 따뜻한 보금자리가 있는 사람들과 비교하자면 괜찮은 상황은 아니니 말이다. 그렇기에 현진의 말처럼 내가 그 사람이 되어 노교수에게 편지를 받는다고 상상하며 책을 읽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었고 나역시 그런 생각을 유지하고 읽었다. 그리고 나름의 '구원'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정치나 사회제도만 봐도 내가 현재 만족스런 삶을 살아가지 못하면 좋은 제도나 혜택보다 불합리한 상황과 모순된 모습만 보인다. 직접적으로 상처를 받는일도 있고 살다보니 도저히 용서안되고 그로인해 내 자신이 너무 밉고 숨어버리고 싶을 때가 서른 넘은 이나이에 없다면 복이고 있을 수 밖에 없다. 용서해야지 하면서도 안되고, 현진 처럼 종교를 가지고 있어도 나락으로 떨어지기 시작하면 그 끝을 헤아릴 수 없었다. 노교수의 말처럼 언제나 피해자는 나고, 가해자는 상대방이라는 공식을 버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가해자가 피해자로 보일 수 있고, 그 반대의 상황도 충분히 가능하다. 하지만 말이 쉽지 결코 네 이웃을 내몸 처럼 생각할 수 없기에 스스로 감옥을 만든다. 다행히 더이상 스스로 감옥을 만들고 그 안에 갇혀 피눈물 흘리는 시기는 벗어났지만 아직 그 안에서 허덕이는 사람이라면, 진짜 사소한 구원이라도 원하는 이들이라면 이 책이 큰힘이 되어줄 것 같다. 도움 받았던 구절을 소개하는 게 이 책의 내용을 파헤치고 요약하는 편보다 나을 것 같다.
한마디로 저는 환경을 탓하는 것만으로는 아무것도 이뤄지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79쪽
특히 세 가지 문제에 관해 자기를 자랑하지 말라는 말씀이 기억나요. 스스로 건강하다는 자랑, 자기 머리가 좋고 박식하다는 자랑, 자신이 도덕적이라는 자랑. 115쪽
문제는 세상의 거의 모든 일에도 그러하겠지만 상처 자체가 아니라 그 상처에 대처하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겠습니까? 171쪽
산다는 게 어렵고 힘들며 종종 큰 상처도 받는다. 그게 당연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로 인해 무너져서는 안된다고 노교수는 말한다. 설사 그런 고통을 받았다 하더라도 이겨내고 마음을 고쳐먹으면 된다. 힘든 삶이라고 떠벌리고 그것을 무기삼아 사는 것은 '안타까운'인생일 뿐이다. 노교수가 책에서 자주 언급하는 세가지 말이 있는데 '이미 다 알고 있겠지만' 혹은 '진부한 이야기지만' 그리고 당장 어려움에 처한 이들에게 와닿지 않을 거라는 염려였다. 들리지 않는게 아니라 듣지 않으려고 귀를 막고 책을 찾은 들 다 의미 없다. 현진 처럼 진정으로 행복해지고 싶다고 믿을 때, 그래서 한 자 한 자 연애하는 마음으로 편지를 써내려가는 노력을 할 수 있을 때 이런 책들이 좋은 책으로 다가올것이다. 만약 이 책을 읽고 전혀 도움이 안되었다면 책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들을 준비가 되어 있다면 책을 읽고 있는게 아니라 직접 편지를 주고 받고 있다는 착각을 불러 일으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