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느끼던 밤을 기억하네 - 엄마 한국대표시인 49인의 테마시집
고은.강은교 외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엄마. 엄마라는 단어는 나이가 먹을수록 더 아이처럼 울게 만든다. 지난 세월이 고단할 수록 그런 마음이 커진다. 한국대표시인 49인의 테마시집 흐느끼던 밤을 기억하네는 바로 그 엄마를 테마로 삼았다. 절절한 어머니의 노고를 추억하는 시도 있지만 가벼우면서도 핵심을 찌르는 작품들도 많았다. 엄마하면 떠오르는 손맛을 소재삼은 작품들도 기억에 남는다. 총 3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1부는 지난 세월 고생과 눈물로 얼룩져 그저 죄송하고 안타까운 사모곡을 중심으로 한 작품들이 실려있고, 2부에서는 어머니라는 존재가 언제 어디서든 늘 우리와 함께 하고 있다는 내용, 마지막 3부는 우리들의 변함없는 어머니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는 작품들이다. 애잔하고 눈물이 나는 것은 1부이지만 소소하고 마음에 확 와닿는 작품들은 2부와 3부에 많았다. 그 중 몇 편에 대한 감상을 좀 더 이야기 해보고 싶다.

 

1부에서는 정진규 시인의 [엄마]라는 작품이다. 첫 줄에서 이미 모든 걸 말하고 있다.

 

엄마아, 부르고 나니 다른 말은 다 잊었다.

 

얼마 전 연기자 최불암씨가 진행하는 쇼프로를 보는 데 그 분 역시 평소에 살갑게 어머니를 대하는 성격이 아닌 탓에 마음을 제대로 표현한 적이 없었다고 한다. 젊은 시절 어느 날 술에 취해 들어와 울면서 그저 어머니 어머니 하고 부르기만 했었다는 그 이야기가 시를 읽다보니 떠올랐다. 엄마아 그 한마디에 우리는 엄마, 어머니에게 하고싶은 말을 그 보다 더 잘표현 하지 못한다.

 

2부에서는 이근화 시인의 [미역국에 뜬 노란 기름]이다.

엄마하면 된장찌개를 떠올리는 사람도 많지만 미역국이 먼저 떠오른다. 평소에도 자주 끓여주시지만 생일날에는 국물을 낸 고기를 잘게 찢어 조물조물 양념한 '꾸미'를 얹어주시는데 선물보다 그 꾸미올라간 미역국이 늘 기쁘고 감사했었다. 시인의 미역국은 어머니의 힘겨운 삶이 담겨져 있는 것에 비하면 내가 추억하는 미역국은 그보다는 그저 감사함만이 담겨있어 덜 무겁기는 하다. 엄마는 아직 내게 아픔보다 감사한 마음이 더 큰 존재여서 일까 아직 덜 깨달아서 일까 궁금해진다.

 

서문에 밝힌 것처럼 2, 3부에서 더 맘이 가는 작품들이 있었다. 먹는 것을 참 좋아해서 그런지 음식과 관련된 작품들에 더 마음이 간다. 엄마의 약김치에 대한 추억을 시로 노래한 유안진 시인의 [엄마 김치], 3부에 실린 이창수 시인의 [옷닭]. 김치에 대한 추억도 된장찌개처럼 만만치 않은 음식이다. 찬이지만 약이되고, 늘 먹는 음식이라 더더욱 그런 것이다. 옷닭은 먹지는 못하지만 몸이 아플 때 엄마가 만들어 주셨던 음식들을 떠올리며 감상하니 참 좋았다. 마지막으로 전윤호 시인의 [샘]은 딸인 나보다 남편분들이 많이 공감했을 것 같다. 아내에게 뭐가 먹고 싶다고 하면 당장 우리집만 봐도 반찬투정 한다며 싫은 소릴 들을텐데 자식들이 지나가는 말로 맛있겠다 하거나 먹고 싶다는 말만 해도 바로바로 기운내서 만들어주는 엄마. 샘이 날 만하다. 힘든일도 어려운 일도 자식일이라면 그저 기쁘고 안타깝기만 한 우리 어머니들.

 

책, 흐느끼던 밤을 기억하네를 만나기 전에는 엄마하면 황인숙 시인이 노래했던 [너는, 달을 아니?]시를 떠올렸다. 엄마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그대로 전하지 못하고 오히려 화를 내는 어린 딸의 모습이 보여 마치 내 모습을 보는 듯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 황인숙 시인의 작품과 함께 유안진 시인의 [엄마 김치], 정진규 시인의 [엄마]도 함께 떠올릴 것 같다. 기존에 발표된 시가 아니라 모두 새롭게 쓰인(한 작품을 제외하고)만큼 시를 지은 시인들도, 읽는 독자들도 다시금 우리의 엄마를 떠올리게 만든 좋은 추억이 될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