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악과의 만남 - 가장 친밀한 음악적 대화 클래식 음악과의 만남 3
제러미 시프먼 지음, 김병화 옮김 / 포노(PHONO)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만에 읽으면서 어리둥절해지는 책을 만나서 고생좀 한 것 같다. 다행인것은 그 고생 덕분에 실내악의 흐름뿐아니라 전에 읽긴 했지만 여전히 애매했던 베토벤, 하이든, 모차르트, 슈베르트 등의 유명 음악가들의 음악세계와 작곡법에 관련된 내용을 재확인 할 수 있었지 싶다.

 

첫 단락은 쉬운 문체로 시작된다. 실내악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실제 실내악이란 것이 어떤 용도에 의해 탄생하게 되었는지등에 대한 이야기다. 놀라운 것은 실내악이 부흥했던 그 시절-베토벤과 하이든 그리고 슈베르트 등이 활발하게 활동하던-내가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상당히 암울했던 시대였다는 사실이었다. 때문에 수준급의 연주를 듣기가 쉽지 않았고 그에 대한 이점으로는 직접 연주를 할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오히려 실내악을 가정에서, 손님을 초대해서 들을 수 있을 정도가 되지 않았나 싶다. 다만 초반에 실내악이라고 콕 찝어 명명할 순 없어도 건반을 누르며 구애를 위해 노래했던 것을 비아냥거리는 비평가들도 있었다는 점이 아쉽기도 했다.

 

포노에서 이전에 출간했던 연작시리즈 중 베토벤과 하이든을 읽었었는데 그때도 서로의 관계나 작곡법에 대한 이야기등이 나오면서 머리가 아팠는데 이번 실내악의 만남은 그보다 배는 더 어려웠다는 생각이 들었다. 표현에 관련된 부분에서는 부연 설명을 친절하게 해주었지만 음악적 용어에 대해서는 그다지 친절하지 못했던 부분도 있었고 정말 듣고픈 맘이 드는 유명한 곡은 크게 실리지 않아(희안하게 슈베르트에 관해서는 관대하게도 선곡해준 명작이 거의 실려있다)찾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왜 그보다 덜 강조한 곡이 실렸는가에 대한 아쉬움은 이전작에 이어 마찬가지였다.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긴 하지만 여러번 강조하고 특히!!명작!!대작!!이라고 부연설명까지 해놓으면서 음반에 빠진것은 속상하다.

 

그래도 장점이 더 많은 책인 까닭이 있는데 우선 실내악이라는 구체적인 단어가 서명에 적혀있지만 실내악이라고만 보기에는 광범위하게 다뤗다는 점, 유명 작곡가이자 연주가들의 이야기를 두루 읽어볼 수 있다는 점은 별4개가 아깝지 않다. 독자를 발빠르고 분주하게 만드는 점은 오로지 용어에 대한 다소 부족한 설명과 부록CD에 실린 선곡에 대한 아쉬움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