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자책] 월간샘터 2013년 11월호 ㅣ 월간 샘터
샘터편집부 / 샘터사 / 2013년 10월
평점 :
이번달 샘터는 표지부터 맘에든다.
11월하면 낙엽 혹은 그마저 다 떨어진 나뭇가지 뿐이라 몸도 맘도 추위로만 가득한데 샘터 11월에는 낙엽으로 날개옷 해입고 눈을 입에문 귀여운 새와 노오란 별이 가득하다. 표지에 텍스트를 전부 지우고 액자에 넣어서 책상위에 올려두고픈 표지.인지라 책을 자를까 말까 고민할 정도.
이번 호 특집은 '외로움도 힘이 된다.
외로움도 힘이 된다. 그래 힘이 된다. 힘이 되고 말고. 특집 주제에 맞는 독자들의 글들을 읽다보면 외로움이 힘이 되는게 아니라 샘터가 힘이 된다는 느낌이 들었다. 바쁜 출근길에 샘터를 읽는데 그런 기분이 들었다. 이번달 행복일기도 한몫했다. 부모님의 연세가 예순을 넘어가다보니 '치매'라는 단어에 움찔하게 된다. 혹시 하는 염려와 걱정에 예전에는 화만 내다가 요즘은 괜찮아 몸만 안상하면 되지란말로 넘기곤 했는데 그런 마음이 투영된 듯한 글이 수록되어 있었다. 아내의 탄밥을 맛나게 먹어주었다는 글을 읽으면서 그저 걱정어린 시선과 말밖에 하지 못했는데 앞으로 혹 부모님이 실수를 하시더라도 글쓴이처럼 무안하지 않게 잘 대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문화가 주제인 컬럼도 잘 챙겨서 보는데 '다문화'라는 어감이 맘에 들지 않았던 까닭을 이번호를 통해 알게되었다. 한국인 가정이란 표현은 없는데 왜 다문화가정이란 표현은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였을까. 다문화인 그들도 분명 한국인이다. 물론 딱히 그 표현을 대체할 만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 답답하기는 하지만 교육 혹은 이벤트 등 자격요건이나 대상자에 '다문화가정'과 '한국인가정'의 비교 표현은 사라졌으면 좋겠다.
끝으로 불문학자 김화영 교수님의 결론이 없는 이야기 코너.
교수님의 말처럼 지금 우리가 보내고 있는 시기가 얼마나 멋있는 시기이며 스스로가 얼마나 근사한지를 잊고 있는 이들이 많다. 때문에 자꾸 타인과 비교하려 들고 타인들에게 내보일 수 있는 가치에 목메고 있는듯 싶다. 행복이란 말을 잘 쓰지 않았던 한국을 떠나 프랑스에서 빈번하게 사용하게 되었다는 교수님은 지금 이 순간을 행복하다고 깨닫는것도 능력이며 행운이라고 말했다. 샘터를 읽는 지금, 그리고 읽고서 타인에게 이 책읽어보지 않겠냐며 글을 쓰고 있는 나는 그래서 참 행복한 사람이다.
샘터, 외로움도 힘이 된다더니 그 외로움을 느끼는 지금 스스로가 얼마나 행복한지를 깨닫게 해주는 11월, 가장 멋진 샘터로 와주었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