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 박영택의 마음으로 읽는 그림 에세이
박영택 지음 / 지식채널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박영택의 그림 에세이 하루.

 

아이러니 하게도 국내 화가들의 작품보다 해외 박물관과 미술관에 전시된 작품을 만나볼 기회가 더 많은 현실이다. 책으로 말이다. 그렇기에 '하루'가 처음 신간으로 소개되었을 때 꼭 읽어봐야지 싶었다. 문자 그대로 24시간, 작품을 통해 만나게 되는 '하루'는 어떤 느낌일지 궁금했고, 기획의도가 참 맘에 들었다.

 

책을 받아들고 본문 첫페이지를 넘기는 순간, 반가운 마음보다는 그림을 담는 책의 구성이 어찌 이리 배려심이 부족했을까 싶어 속상했다. 그림속에 구도나 소품들을 떠나 전체적인 분위기 하나하나 소개해주는 저자의 글을 온전히 느낄 수 없도록 너무도 작은 사이즈의 그림 때문이었다. 물론 읽으면서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는 수고를 하면 크게 문제시 될 것 도 없지만 한권의 책으로 만나게 될 '하루'동안의 그림감상은 그런 수고로움을 동반하게 만든것이 맘에 들지 않았다. 책에서 소개된 그림들은 여유, 빈자리, 그리고 여백과 공백을 아우르는 '휴식'과 같은 이미지가 주가 되었는데 그런 점에서는 이래저래 구성이 참 안타까웠다.

 

첫 페이지의 아쉬움은 가까스로 접고 저자 박영택의 글에 마음을 위로 받으려고 한글자 한글자 반복되는 글과 뻔히 알수 있는 그림 소개임에도 불구하고 작은 사이즈의 그림을 떠올려가며 애써 공감하려 노력했다. 그림만 담았는 줄 알았는데 사진도 담겨 있고 다양한 기법과 화풍의 그림 한 점 한점이 등장할 때마다 어느 순간 작품의 타이틀과, 저자가 붙여준 이름을 오가며 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독자가 붙일 수 있는 타이틀에는 무엇이 있을지도 고민하며 읽다보니 앉은 자리에서 다 읽을 정도의 편안함과 그림사이즈는 크게 문제시 되지 않았다.

 

표지에 실린 두 작품은 상반된 시간과 의미를 담고 있다. 이처럼 책에는 똑같이 한 발작 뒤로 물러서서 자신의 방을 화폭에 담은 시선은 같아도 명암과 소품들의 의해 그것이 시작을 알리는 아침이 되기도 하고 오후가 되기도 한다.

 

오전 vs 오후의 방풍경

 

   

 

 오전의 방풍경은 햇살이 비추고 있고 그 위에 전날 밤 읽다가 올려두었을 소설 책이 보인다. 반면 오후의 풍경은 뚜렷한 명암보다는 전체적으로 한 가지톤으로 활발한 오전의 움직임보다는 가라앉은 오후의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소개된 그림과 글 중에서 가장 맘에 든 것은, 아마 책 좋아하는 사람들이 한결같이 골랐을 '서은애 - 늘어지게 기분 좋은 어느 여름밤' 이다. (그림을 소개하려 하였으나 책 혹은 직접 그림을 보았으면 싶은 마음에 생략)

 

'멋들어진 나무들이 작은 미풍에 뒤척인다. 소박한 집에는 작은 탁자와 커피 잔, 커피머신 그리고 흩어진 책들, 먹다 남은 음식이 있다. 이곳에서 책을 보고 차를 마시며 소일하는 한가로운 일과를 보여주고 있다.' - p.208-

 

저자가 덧붙인 것처럼 더 없이 행복한 순간이 아닐 수 없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치고 차나 커피를 즐기지 않는 이도 거의 없다. 좋아하는 차 혹은 커피와 흩어진(한권으로는 역시 아쉽다.)책들, 그리고 허기를 달래준 먹다 만 음식까지. 생각만해도 그림속에 아이가 내가 되었음 좋겠다는 바람이 든다.

 

난해 한 그림이 거의 없다는 점이 이 책의 장점이며, 어려운 용어로 그림을 감상하는게 아니라 '배워야 만 할 것 같은'부담을 덜어 주는 것도 이 책의 장점이다. 오래두고 볼 만한 책인듯 싶으면서도 책을 구매한 그 곳, 혹은 앞서 소개한 작은 미풍이 오가는 어디에서 읽어도 참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