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첫 번째 재즈 음반 12장 - 악기와 편성 ㅣ 당신의 재즈 음반 12장
황덕호 지음 / 포노(PHONO) / 2012년 11월
평점 :
당신의 첫 번째 재즈 음반 12장 악기와 편성
재즈만큼 알고싶어도 알기 어려운 장르가 또있을까. 책속에 담긴 12장의 음반 전부는 몰라도 한두곡즘은 들어봤을 듯한 대중적인 재즈아티스트들의 음반과 그 음반안에 담겨진 악기이야기를 다룬 재즈 입문용 책으로 서문부터가 대놓고 배려한다. 그동안 너무 재즈가 어렵지 않았냐고. 그렇게 물어봐주니 오히려 편안하게 대답하며 읽었다. 그러했노라고. 그래서일까. 저자는 음악가가 바뀔 때마다 어려운 음악용어나 음반관 관련된따분하고 지루한 이야기가 나올즘이면 그전에 미리 말해준다. 이해하기에 어렵지는 않을거라고.
가장 대중적인첫번재 재즈아티스트 쳇베이커는 유연한 시작을 느끼게 해준다. 저자말처럼 곡을 듣고자하면 굳이 구매하지 않아도 합법적으로 들을 순있었는데 아쉽게도 딱 그시기의 음악을 찾아 듣는건 의외로 어려웠다. 그래서 초반에 음원을 다 찾아놓고 들으면서 읽어야겠다는 읽기전 계획은 실패였다. 그치만 추후에라도 음악을 듣게 되면 아, 이부분이 즉흥적이구나 아, 여기서가 규칙을 지켜가며 연주하거나 노래한 곳이구나를 어렴풋하게 나마 알 것 같았다. 이 책은 재즈입문서니까 그정도면 충분하다고 느낀다.
재즈를 정의한 다양한 이들의 구절과 저자의 표현중에 가장 맘에 드는 구절은 역시나 밤의 음악이라고 표현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재즈란 음악은 공간적으로는 도시며, 시간적으로는 밤의 산물이다." p. 153
도시의 음악. 그러고보니 재즈와 도시를 빗댄 영화도 있고 소설도 있다. 굳이 작품 타이틀을 열거하지 않아도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어둠이 내려앉은 밤이면 자유를 갈망하고 태양이 떠오르면 너나 할 것 없이 타인과 똑같아지려고태어난 사람들처럼 획일적인 '성실함'으로 살아가는 모습. 그 모습을 때로는 비웃기도 하지만 결국에는 어루만져주듯한 기분을 느끼게 해주는 재즈.
그런가하면 다소 소외받는 재즈의 현실을 덤덤하게 털어놓기도 한다. 색소폰의 음색을 트럼펫과 정확하게 구분하지못할뿐 아니라 현악기에 비해 '딴따라'라는 부정적인 시선을 더 많이 받는 것과같은 소외됨을 짚어주면서 색소폰이란 악기를 잘 느낄 수 있는 음반을 추천해주기도 한다.
재즈입문서라고 했지만 지나치게 고전음악이라는 점, 소개한 음반과 추천음반을 별도로 구매해야하는 아쉬운점은 있지만 아티스트를 소개하고 음반해설을 늘어놓기 전에 책을 읽고 있을 독자의 상황을 먼저 물어봐주는 여유와 배려가 참 고맙게 느껴졌다. 무엇보다 재즈를 조금이나 알고 들을 수 있는 주파수를 찾아낸 것 같다. 오랜기간 라디오를 진행했었고, 관련 해설서 무엇보다 번역도 했던 저자였기에 독자에게 어렵지않게 다가오는 법을 아는 사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