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려라 얏상 스토리콜렉터 9
하라 코이치 지음, 윤성원 옮김 / 북로드 / 2012년 4월
절판


노숙자 하면 떠오르는 것?
냄새라기보다는 악취와 시비라도 걸까 두려운 행동들이다. 심심치 않게 노숙자들과 연류된 사건소식을 접할 수 있는 요즘이라 나뿐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동정의 시선보다는 두려움의 대상으로 노숙자를 생각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얏상처럼 반듯한 노숙자 철학을 가지고 있는 노숙자가 존재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애초에 얏상처럼 미각을 제대로 배우고 노숙자가 될 확률은 그야말로 하늘에 별따기, 아니 그정도의 미적 감각이 있다면 얏상의 생활도 멋져보이긴 해도 하루라도 빨리 일자리를 구할 것 같다는게 본심이기도 하다.



노숙자 얏상과 그와 함께 음식점을 돌며 상인들과 교류를 이어가는 다카오의 여정은 재미난 이야기속에 많은 것을 깨닫게 한다. 신세타령이라는 것은 타인에게 의지하려는 나약한 태도이며 현실도피라는 얏상의 정의는 어느정도 맞는 말이다. 아, 그랬구나 식의 신세타령은 상대를 이해하는 장치가 되어주기도 하지만 면죄부가 되어주진 못하기 때문이다. 성실하게 살아가는 이들에 대한 예의를 지키는 모습보다 매일 열심히 운동하고 체력을 키우는 모습이 마치 자기계발서를 보는듯한 기분이 들게했다. 거기에 한식당을 운영하는 오머니의 등장으로 저자와 작품에 대한 애정이 커지기도 했다. 좋아하는 것을 잘하기 위해 눈앞에 욕망을 자제해야 하는 소바소녀 미사키의 경우는 마시멜로우 책의 다른 버전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다만 얏상의 경우는 초반에 적은 것처럼 드물거나 불가능한 경우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 노숙자가 존재한다는 것도, 노숙자가 노숙자가 되려는 혹은 이미 된 다른 노숙자의 삶을 개척해준다는 것도 그렇다. 하지만 얏상의 자부심과 철학, 자기와의약속을 칼같이 지킨다면 얏상을 굳이 만나지 않더라도 인생을 가벼우면서도 진정 자유롭게 살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간만에 맛난 음식이 과장되게 말해 페이지마다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폭식을 불러일으키지 않는 참 착한(?)작품 달려라 얏상! 맛난 음식만큼이나 멋있는 얏상의 이야기는 그가 노숙자라도 꼭 한번 만나서 밥한끼 하고픈 맘이 들정도였다. 다만 다카기의 애정전선이나 결말은 좀 의외였다. 결말이 궁금하신 분들은 꼭 읽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