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 - 우리가 알고 있던 만들어진 아프리카를 넘어서
윤상욱 지음 / 시공사 / 2012년 3월

이 책을 대충 훑어만 보는데도 한달이 넘게 걸렸다. 좀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맨 처음 책의 30페이지를 읽는데만도 3시간 정도가 걸렸었다. 그만큼 아프리카에 대한 정보가 없었고, 아프리카에 대한 오해가 깊었다는 반증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무엇보다 그런 뿌리깊은 오해를 낳게한 유명역사학자와 철학자에 대한 배신감이 컸었다. 아프리카를 흑 아프리카 심지어 유아기에 머물러버린 하층계급으로 무시한 그들의 역사서를 읽는데 할애했던 시간들이 과연 진정한 역사읽기를 위한 시간이었는지 의문스러워졌다. 어찌되었든 이와 같은 이유로 책을 읽는 시간은 길어졌고 겨우 훑기만 한(읽으면서 메모하고 희망도서 리스트의 책들은 전혀 건들지도 못했는데)상태에서 적는 지금의 리뷰가 이 책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는 없지만 이 책을 읽어야할 당위성에 대해서는 이후보다 더 정확하지 않을까 싶다.
일단 읽으면서 아프리카에 대한 정보를 많이 알 수 있었던 점 보다 이런 글을 한국인이 저술했다는 점이 기쁘고 놀라웠다. 저자 또한 지금까지 자국에서 이처럼 아프리카의 진짜 역사와 현실에 대한 저술서가 없었다는 점이 아쉬웠고 무엇보다 아프리카에 대한 초점이 그들의 역사나 지나치게 과장된 희망론 또는 정반대의 암흑론 위주였던게 사실이다. 때때로 만나게 되는 아프리카 지역으로의 여행기 역시 가보고 싶은 마음이 생겨도 분쟁중인 지역이라 가고 싶어도 갈 수 없었던 경우가 많았다. 이 책을 읽게 되면 처음에는 아프리카, 그리고 아프리카인에 대한 정의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어려운 경제난과 극심한 질병의 폐해지역이라 생각하는 이미지의 시작과 경계를 알게되고 그 다음으로는 그렇게 만든 역사학자와 서구의 오해로 배신감좀 느끼다가 점차 아프리카에 대한 정보와 나쁜이웃들의 소행에 화가 나게 된다. 나처럼 그저 감탄사만 연발해대는 독자의 의식이 대수로울거라는 기대는 갖지 않는다. 아프리카인 스스로가 서구에게 의존하고 스스로의 발전을 가두려한다는 사실또한 자국민도 모르는 사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추천하기 위해 성급하게 리뷰를 남기는 것은 오해로 부터 벗어나는 '씨앗'이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저자가 무지한 독자에게 정확한 아프리카를 알리려고 노력한 것에 비하면 그야말로 씨앗에 불과하지만 그의 노력이 헛되지 않길 바란다. 더불어 아프리카에 대해 좀 더 공부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아프리카는 역사가 없다.
아프리카의 언어는 고대에서 시작되지 않았다.
아프리카는 그야말로 경제적인 면에서는 보물섬이다.
아프리카는 독립적으로 자유로워질 수 없다.
라는 문항에 하나라도 애매하게 답하게 된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길 권한다.
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는 타이틀을 서문만 읽어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