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욕 뒷골목 수프가게
존 고든 지음, 김소정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4월
절판

타이틀이 정말 포근해져온다. 수프가게. 그것도 무언가 찾아낼 수 있을거란 기대를 주는 '뒷골목'수프가게. 자기개발서를 좋아하지 않는다면서도 이런 타이틀만 보면 읽어보지 않을 수 없다. ~해라, ~하지마라, 라는 책과는 달리 독자에게 안정감을 먼저주고 위로를 건네줄 것 같은 치유서 느낌. 수프가게의 내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인수위기에 처한 수프회사 CEO 넨시는 고민이 많다. 전문 경영인도 아닌 그녀가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CEO 자리에 오르지만 그동안 숫자에만 연연해 왔던 그녀에게 회사를 되살리는 방법은 역시나 숫자안에서밖에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 그녀가 뉴욕 뒷골목 수프가게 다이엔을 만나면서 회사를 살리고 직원들의 신뢰를 얻는 것, 궁극적으로 제대로된 수프를 만들기 위한 방법은 숫자, 즉 돈이 아니라 가족이 되는것, 가족을 보살피듯 그들의 마음에 열정을 심어주는 것임을 알아간다는 내용이었다.
근데 참이상했다. 왜 내 마음이 뭉클해져 왔을까. 왜 이런 수프회사나 수프가게에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하게 들었을까. 나를 믿어주는 곳, 말로만 가족이 아니라 진짜 가족처럼 사원의 역량을 높여줄 수 있는 방법뿐 아니라 끊임없이 소통할 수 있는 회사를 기다려왔던게 아닌가 싶었다. 물론 지금의 직장이 맘에 안들어서, 이직을 희망해서가 아니다. 실존하는 회사일까 하는 의문감에서 어쩌면 찾아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들어서였을지도 모른다. 다이엔과 빌과 같은 사람들이 운영하는 회사는 그야말로 꿈이다. 내가 보아왔던 잘나가는 대기업들은 어떤가. 직원을 가족같이? 하기사. 요즘 기사를 보니 진짜 가족들끼리 재산가지고 소송도 거는 모습을 보니 알만하다. 그런데 그런 기업에 들어가지 못해 안달하는 구직자가 넘쳐난다. 그런회사 잘되는 현실에 과연 수프가게의 내용이 현실적인지, 정말 도움이 되는 책인지는 자신할 수 없다.
하지만 마음속에 수프가 끓고 있다. 아주 뜨거운 수프가, 그 수프를 함께 져어도 된다고 말해주는 회사가 있을거란 기대가 생겼다. 그 기대를 갖는 긍정적인 힘. 결국 뉴욕 뒷골목 수프가게는 우리에게 긍정을 말한다. 긍정의 힘을 믿게 만들어주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