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경제다 - 버리고, 바꾸고, 바로 잡아야 할 것들 선대인연구 2
선대인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문제가 경제인줄은 진즉 알고 있었다. 내가 경제활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기 이전부터 경제가 어렵다는 말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으니까. 다들 저마다의 경험과 이론으로 경제를 진단하고 미래를 내다보았지만 결국 경제를 죽였다 살렸다, 서민을 웃고 울릴 수 있는 힘을 가진 정부나 대기업은 달라지지 않았다. 문제는 경제다는 그런 점에서 차별점이 하나 있고 역시나 개개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한국의 경제라는게 '세력'과 '정권'이 달라지지 않는 한 변화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절망스러움에서 벗어나질 못했다.

 

서문에서 저자는 말했다. 숫자뿐인 경제지표와 통계를 보면서 눈물이 났다고. 하지만 그랬기에 더더욱 이 책을 쓸 수 밖에 없었다고. 경제를 모르면서 우리는 경제가 나쁘다고 말해왔다는 점은 저자의 말에 공감한다. 일전에 올렸던 커런시워 리뷰처럼 알아야 이겨낼 수 있는데 우리는 어디서부터 경제를 모르고 있는지조차 몰랐음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언론사에도 근무했었고 무엇보다 과수원을 하는 부모님과 개인사를 들어 60년대 이후 부터의 한국경제사를 편안하게 소개했다는 점도 이 책의 장점이긴 하다. 실업문제와 대기업과 언론이 시민의 눈을 가리는 것 또한 모르던 바가 아니었기에 저자가 제시하는 경제플랜에 더 기대를 걸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의 해결책은 썩 와닿지가 않았다. 결혼자금을 줄여라의 경우 본인도 그렇게 실천하지 못했으면서 독자에게 어렵지만 해보라 하는 것은 너무 무책임한 플랜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더군다나 한쪽에서만 아낀다고 되는 부분이 아니다. 사교육비 문제도 자녀교육과 동떨어져 있을 때는 잘몰랐던 부분이 당장 친구들이 학부모가 되어 그들만의 고민을 듣고 있자면 안타까운 마음만 든다. 그렇다고 저자의 플랜이 모두 맘에 들지 않고 비현실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보험료를 줄이라는 부분은 많은 사람들이 공감해줬으면 하는 부분인게 사실인데 졸업하고 첫 직장을 가진 후배들이 적금보다 더 많이 문의해오는게 다름아닌 '보험'이었기 때문이다.

 

책의 뒷부분에 실린 에필로그를 보면 그야말로 이상적이다. 경제정책을 실천하는 정권이 들어서면서 등록금이 안정되고, 진정한 의미에서의 서민주택의 공급은 늘 세입자의 입장에서 살아가는 이들에게는 그 어떤 정책보다 기다리던 정책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그런 정책이 시행 될거라고는 기대하지 않는다. 다만 내가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조차 모른다는 말은 내내 머릿속에 맴돌았다. 정책이 변화되어도 혹은 변화되지 않더라도, 나 혼자만이라도 잘 살아가기 위해서 무조건적으로 신문사의 경제란을 100% 믿는 행위, 앞으로 주택이 모자르고 경제가 호황이면 집값이 오른다는 헛된 기대는 버려야겠다는 생각은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