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버드 정치경제학 - 하버드 케네디스쿨 및 경제학과 수업 지상중계
천진 지음, 이재훈 옮김 / 에쎄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천진작가의 신간 하버드 정치경제학이 출간되었다. 지난 번 하버드 경제학을 재미있게 (경제학 책이 재밌다니..;;;)읽은터라 이번 신간도 기대가 컸었다. 서문을 읽어보니 근데 의외였다. 정치경제라고 해서 정치가 주가 되고 경제학이 이를 보충하는 의미인 줄 알았는데 이전에 설명했던 경제학 부분을 좀 더 밀도 있게 다룬부분과 내가 짐작했던 부분은 문화경제학 부분으로 다소 적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어찌되었든 경제학에 관한 내용을 더 공부하는 것 또한 재미있을 뿐더러 지난번에 다뤄지지 않는 부분이기에 역시나 실제 강의를 듣는 다는 생각, 언제나 기자의 시각으로 '중립적이고 객관적임'을 강조하는 저자의 표현을 빌어 공부하는 마음으로 페이지를 넘겼다.
책을 읽어본 독자라면 알겠지만 읽다보면 전편격인 하버드 경제학에 실렸던 내용을 참고하라는 경우가 종종 등장하는데 경제학편을 읽지 않은 독자라면 다소 소외감을 느낄 수도 있고, 별도로 검색하거나 찾아내야 하는 번거로운 기분을 느꼈을 것 같다. 반대로 경제학편을 소장하고 있는 나의 경우는 오히려 이게 장점으로 다가 왔다. 저자의 지시대로 비교하면서 학자별로(그것도 우수한 경제학자라고 불리는)의견이 어떻게 상충하는지, 또 개인적인 소견은 어떤 쪽에 가까운지를 재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기 때문이다. 분량은 이전 절반을 좀 넘는 수준이지만 신조어는 더 많이 공부하게 된 것 같고 여러가지 경제학 용어와 무엇보다 2010년을 기준으로 발생했던 경제학 측면에서의 사건사고들에 대한 해석은 큰 도움이 되었다. 어디가서 난척 할수준은 안되겠지만 대략의 흐름을 비춰볼 수 있을 정도는 된게 아닌가 하는 우쭐함이 생겼기 때문이다.
더불어 이 책에 관심이 가는 이유는 아무래도 '하버드'라는 단어가 서명에 들어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호기심을 충족시켜주기 위함인지는 몰라도 천진 작가의 하버드 학업생활을 부록격으로 포함시켰다는 점도 이 책을 재미있는 경제학책으로 볼 수 있는 점이다. 신문기사를 읽는 듯한 편안함에 원론이 아닌(이부분은 저자도 자주 언급하는)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국제정세와 내 가계의 성장을 위한 기본적인 경제학 강의를 듯는 편안함이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이며, 다음 시리즈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