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2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미래 시장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트렌드 코리아 2012를 읽기 전까지 어떤 키워드들이 포함되어있을까 하는 생각에 단답형 키워드의 나열을 떠올렸었다. 하지만 정작 읽다보니 책의 절반 가까이가 지난해 2011년도 트렌드를 분석을 통해 예견했던 바가 얼마나 맞았는지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지난 서울시장 투표율은 물론 사회문화 전반적으로 심지어 정치적인 부분은 저자 및 공동저술자들이 자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예견했던 것에 자부심을 갖고 있는듯한 느낌을 받았는데 그것이 과하다거나 맞지않는 바가 아닌지라 오히려 2012년 트렌드를 어떻게 조명했는지가 점점 더 궁금해졌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2011년도에 유행했던 신조어에 대한 내용도 실려있는데 조금 당황스러웠다. 내가 한번이라도 들었던 신조어보다 생경하게 느껴지는 신조어가 많았기 때문이다. 오랜기간 병으로 쉬긴 했어도 이토록 사회와 동떨어져 있었던건가 하는 두려움까지 느껴졌다. 트렌드를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할 때 해당 해의 십이지신을 상징화 시키는데 지난해가 토끼해로서 두마리 토끼라는 상징성을 가졌다면 올해는 용띠, 드래곤볼을 상징으로 내세웠다. 구슬을 모으면 소원을 이뤄준다는 여의주모으기의 드래곤볼. 총 10개의 키워드를 제시했는데 각각의 키워드가 서로 따로 떼어놓을 수 있는 개념이 아니라 '진정성'이라는 공통된 화제의 다른 측면을 조금씩 나뉘어서 분석한게 아닌가 싶었다. 문제는 이 '진정성'이라는게 비단 2012년 뿐아니라 이전에도 아니 앞으로도 늘 중시해야 되는 부분이라는 점이다. 책속에서 예를 들었던 '나는 가수다의 임재범'의 날것 현상 역시 철학을 공부하다보면 이전부터 음악가들이나 예술가들을 비평할 때 그것이 인위적인가 아니면 진정성이 묻어나느냐에 따라 날것에 대한 존경심은 귀족이나 특권계층의 표면적인 성향과 비교되면서 늘 비평가들의 관심을 받았기 때문이다. 뿐아니라 연예인과 대중과의 관계나 소비자와 판매자의 관계가 극명하게 갈리던 예전과 달리 대중도 연예인이 되고, 소비자가 판매자가 되는 현상에 대한 예견도 말만 달라질 뿐 내용을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결국 같은 분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이책은 재탕이며, 읽으나 마나한 책이라는 의미냐고 묻는다면 그것은 아니다. 저자의 의도는 어떨지 몰라도 독자입장에서 내가 판단하기에 마케팅, 즉 누군가의 마음을 얻으려 할 때 지난 몇년동안은 물론 앞으로도 중시해야 될 점이 무엇인지, 시간의 흐름과 대상이 누구냐와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통하게 되는'부분을 명확하게 짚어준다는 점에서 추천하고 싶다. 더군다나 재탕이 되었더라도 이전에 트렌드라고 예견했던 부분을 꼼꼼하게 분석한다는 점 또한 맘에 들었다. 하지만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트렌드를 알기 위해서는 이 책을 바탕으로 통계자료나 각 분야별 마케팅 서적을 훑어봐야만 하는 것이 아쉬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