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Thirty - 젊은 작가 7인의 상상 이상의 서른 이야기
김언수 외 지음 / 작가정신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0 thirty, 젊은 작가 7인의 상상 이상의 서른이야기 

서른. 무언가 특별해지는 것 같기도 하고 20대의 치기어린 방황을 이어가서는 안되기에 '결단'을 내려야만 할 것 같은 스스로의 압박에 시달리는 때라고들 생각하는 것 같다. 이미 만 서른의 해를 넘긴 내 스스로 생각하기에 서른은 끝이 아니라 오히려 시작에 가까웠기에 죽음과 서른을 결부시켰다는 주제가 딱히 맘에 들진 않았지만 어찌되었든 '서른'에 대한 갈급함은 마흔에 더 가까운 나이가 되기전까지는 쉽게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에 이 책의 내용도, 그것도 7명의 젊은 작가가 참여했다는 말에 솔깃하지 않을 수 없었다.

 

서른과 죽음을 자살로 연결지은 작품이 많다는 점이 일단 이 책의 가장 큰 단점이라고 생각한다. 죽음이라는 것이 자살도 있고 타살도 있고 혹은 살해가 될 수도 있는데 7개의 작품 중 자살미수 혹은 자살자에 대한 수색자를 제외한다면 2편밖에 없다. 그나마도 서른과 어떤 연결고리가 있을까, 굳이 서른이 아니어도 되는 나이였기에 정확하게 서른과 타살에 대한 차별성을 가진 작품은 박주현 작가의 모히토를 마시는 방 뿐이었다. 자신의 사체를 찾아 다니는 영혼, 그 사체를 어디에 유기했는지조차 알 수 없는 상태에서도 그녀는 끊임없이 당신을 사랑했노라 고백한다. 서른의 여성은 자신의 영혼이 육체를 떠난 상태에서도 자신의 감정을 로맨스라 주장하는 것 같아 안타까웠다. 죽음이 주제이기는 해도 시종일관 우울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정용준 작가의 그들과 여기까지의 경우는 '하마'의 대한 애착심과 묘하게 얽히는 그들과의 헤프닝은 폭소를 터뜨릴 수준은 아니어도 입가에 미소가 머금게 만들기도 하고 어디서 많이 본듯한 플롯이기는 해도 김성중 작가의 국경시장은 서른과 죽음을 떠나 가장 흥미롭고 재미있었다. 물론 재미있게 볼만한 가벼운 내용은 아니었지만.

 

서른이 그토록 힘겨운 나이였는지를 마지막 작품을 다 읽고나서 다시금 생각해봤다. 나오는 인물들의 특징이 하나같이 메마르고 대책없이 슬픈가 하면 죽기 이전, 혹은 떠나기이전에는 느닷없이 활기차다. 인물의 성격이나 외향이 비슷한 까닭에 내용도 크게 다르지않다는게 아쉬웠다. 젊은 작가들이라 서른을 제대로 느껴보질 못해서였을까. 이토록 부족하고 불안하기만한 서른의 이야기를 삼십을 앞둔 후배에게도, 이미 한고비를 넘긴 또래들에게는 물론 한참 선배들에게도 추천하지 못할 것 만 같다. 적어도 서른과 관련된 책으로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